금호타이어 난산(難産) 합의안 부결된 이유는?

입력 2010-04-09 08:48수정 2010-04-09 09: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조와 집행부 사이 내부갈등 보여, 실질적 임금삭감은 40%나 돼

금호타이어의 노사가 난산(難産)끝에 얻어낸 임단협 잠정 합의안이 8일 노조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를 두고 사측의 정리해고 통보를 목전에 두고 노측의 입장이 상당부분 양보안으로 수정된 것에 대해 전체 노조가 반대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지난 7~8일 이틀에 걸쳐 2010년 임단협 노사 잠정 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투표결과 임금과 단체협상 부문에서 각각 44%와 43%라는 낮은 찬성률을 기록하면서 결국 부결됐다.

결국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노조는 절차에 따라 쟁의행위에 돌입할 예정이다. 사측은 법원에 '쟁의행위 가처분 신청'을 낸 상태여서 노측의 쟁의는 불법행위로 해석될 가능성이 큰 상태다.

이밖에 노사 관계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채권단의 긴급 자금지원이 불투명해지는 등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위기에 처하게 됐다.

이날 투표 결과는 노조 내부의 강경파와 중도파 등 계파 간 갈등으로 애초부터 박빙의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측됐었다. 이미 18차 본교섭 무렵부터 '현재 노조 집행부를 무시하고 강경투쟁하자'는 문자 메시지가 노측에서 오가기도 했다.

□실질적인 임금 삭감은 40%=그러나 워크아웃이라는 특수 상황을 고려할 때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는 않더라도 찬성 쪽으로 결과가 나오지 않겠느냐는 낙관론이 우세했다.

특히 합의안이 부결될 때 닥쳐올 결과가 법정관리 등 회사의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커서 가결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였다.

이번 협상에서 기본급과 상여금, 각종 수당 등을 포함해 임금 삭감 폭이 실질 임금의 무려 40%에 달하는 점에 대한 조합원들의 반발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파업 찬반투표에서 72.34%라는 높은 찬성률로 강경 기류를 반영한 것처럼 노조 내부 강경파의 입김이 예상보다 강하게 작용하면서 조합원들 개인의 투표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합의안 부결에 따라 금호타이어 현 노조 집행부는 지도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게 됐고 회사는 채권단의 결정 여부에 따라 회사의 법정관리나 청산 등 최악의 길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특히 그동안 '금호타이어 살리기' 운동에 동참하고 노사협상 과정에서 원만한 타협을 촉구했던 지역 경제계와 시민, 280여개 협력업체에 미칠 충격은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합의안 부결로 금호타이어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에 부닥친 가운데 지역 경제계에 몰고 올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관련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