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제의 회복을 주도하고 있는 아시아는 금리인상이 임박한 상태다. 경기회복과 함께 물가가 급등하면서 아시아 주요국의 금리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시아를 괴롭히는 것은 무엇보다 인플레이션이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융위기 사태를 피해갔지만 선제적인 물가 안정에 실패할 경우 자칫 더블딥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늦어도 4월초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JP모간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중국경제의 가장 큰 위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인민은행의 금리인상이 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JP모간은 인민은행이 1년 만기 대출금리와 예금금리를 모두 0.27%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올들어 두번에 걸쳐 지급준비율을 끌어 올렸다.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11%로 세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재정지출 예산도 전년 대비 11.4% 늘어난 8조4530억위안을 편성했다.
국제사회의 압력 역시 중국에게는 부담이다. 세계은행은 지난 17일 발표한 중국경제 분기보고서를 통해 부동산거품을 막기 위해 중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세계은행은 금리인상과 함께 위안화 절상을 요구했지만 미국과의 관계 등 통화 절상이 민감한 이슈라는 점을 감안하면 금리인상이 먼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쉽게 금리를 끌어올리는 것은 힘들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당국 차원에서 어느 정도의 물가상승을 용인한 가운데 정책기조의 급격한 변경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상황에서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중국이 뒤를 따를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중국과 함께 친디아를 구성하는 인도는 이미 금리인상 행진을 시작했다. 인도중앙은행(RBI)은 지난 19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2월 소비자물가가 16.22% 급등하고 도매물가가 9.89% 상승하면서 물가 억제가 가장 시급한 숙제가 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