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등 심각한 혈관질환 원인, 적당한 양 식사와 운동필수
최근 20대 미만 청소년들이 고지혈증으로 진료받는 사례가 중년층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5~2009년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 중 '고지혈증'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19.3%, 20% 증가했으며 진료인원은 2009년 92만명으로, 2005년 45만5천명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성별로는 최근 5년간 여성이 남성보다 약 1.4배 더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17.9%, 여성이 20.6%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구간은 남성과 여성 모두 50~59세로 매년 총 진료인원의 30~33%를 차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70세 이상에서 24.9%로 고연령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20세미만의 청소년(16.2%)이 20~49세의 중년층(13.9%)에 비해 연평균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 건강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20세미만의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고지혈증은 대부분 유전적인 영향으로 인한 것이 많으나, 서구화된 식단이나 인스턴트 식품도 그 원인이 된다. 또 식사량에 비해 부족한 운동량이 비만으로 연결돼 고지혈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고지혈증은 대부분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지만 고혈압, 흡연, 당뇨병 등과 함께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경화 등 심각한 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고지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식사를 통해 비만을 피하고 표준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고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적당히 하는 것이 중요하고 금연과 절주는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