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보유지분 최대 낮추면서 독과점 걸림돌로 해결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이 상반기 중 구체화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금융전문가들은 KB금융지주와의 합병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과 관련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금융전문가들은 합병 시너지가 가장 큰 곳으로 KB금융지주를 지목하고 있다. 우리금융이 KB금융과 합병할 경우 예보 보유지분율이 30% 이하로 떨어질 수 있고 독과점 문제에서도 자유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으로 유력하게 논의되는 '합병 방식'은 예보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융당국도 이 때문에 직간접적으로 합병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예보가 갖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율은 소수지분을 합해 66%이다. 이를 절반 이상 떨어뜨릴 수 수 있는 금융회사는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이다. 우리금융과 KB금융이 1:1로 합병한다고 가정하면 예보의 보유 지분율은 최대 27%까지 떨어지고, 신한금융도 이와 비슷한 26%까지 감소한다. 이렇게 되면 예보는 신설될 금융지주사의 최대주주는 될지언정 경영권과 무관한 지분율을 갖게 된다.
금융권에서는 두 금융지주사 모두 합병으로 예보의 보유지분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보지만, KB금융과의 합병에 손을 더 들어주고 있다.
KB금융의 국내 수신기반과 우리금융의 해외지점 및 IB기능을 합친다면 국내 최대 규모의 메가뱅크는 물론 시너지 효과도 크게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신한금융과의 합병은 예보 보유지분을 크게 낮출 수 있지만, 시장 점유율이 50% 이상을 초과해 공정거래법상 독과점에 걸린다.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하고 있는 한 고위관계자는 "예보 보유지분율을 크게 낮추면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금융지주사는 KB금융"이라며 "하나금융과의 합병은 예보 보유지분율을 47%까지밖에 떨어뜨리지 못하고 우리금융이 도리어 하나금융의 부실을 떠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금융지주사들도 합병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외 투자자들을 물색하고 있다.
몇몇 금융지주사들은 최근 해외에서 자사와 우리금융이 합병할 경우 투자해줄 수 있는지 외국계 투자자들에게 자문을 구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최근 하나금융의 임원이 홍콩을 방문해 외국계 투자자들의 의중을 파악했다고 알고 있다"며 "올해 안으로 민영화가 조속히 추진될 예정이기 때문에 금융지주사들도 예보의 보유지분을 받아줄 외국계 투자자들을 급하게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산업자본의 참여도 예상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10월 산업자본이 자기자본으로 은행 지분을 9%까지 취득할 수 있다는 금융지주사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 됐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포스코와 삼성 등 자기자본을 확보한 기업들이 참여할 경우 특혜시비에 부딪칠 수 있다"며 "하지만 금융당국에서 수차례 특혜시비 논란을 배제하고라도 조속한 민영화 의지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산업자본과 외국계 투자자의 참여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