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푸르지오 현장에 적용해 탄소배출 1933톤 저감
대우건설이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우해 국내 최초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를 개발, 실용화했다.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은 콘크리트의 주원료인 시멘트 대신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플라이 애쉬(Fly Ash)와 고로 슬래그(Blast Furnace Slag)를 사용해 일반 매트콘크리트보다 시멘트 사용량을 40% 이상 줄인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콘크리트 주원료인 시멘트는 생산과정에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지구온난화를 부추기는 주요 오염원 중 하나로 지적돼 왔다. 시멘트는 1톤을 생산할 때 약 0.9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콘크리트 경우 1㎥당 219㎏의 시멘트가 소요되는데 반해 이번에 개발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는 131㎏의 시멘트만 사용, 양을 88㎏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1㎥ 당 약 79㎏의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는 소나무 28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다.
대우건설은 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를 인천 송도 푸르지오 현장에 적용해 기초부분에 2만4400㎥의 콘크리트 타설을 완료해 약 1933톤의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효과를 거뒀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탄소발생저감 콘크리트는 품질이나 시공성, 내구성 등 모든 면에서 기존 콘크리트와 차이가 없다"며 "앞으로도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친환경 건설문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