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기업조직 '고참'을 활용하라"

입력 2009-11-2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시장가치 이상의 보상 통해 고참의 이탈 방지해야

기업조직에서 '진정한 고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6일 '고참의 재발견'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진정한 고참'을 차별적으로 처우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기부여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시장가치 이상의 보상 경쟁력 유지와 인센티브 지급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구소는 최근 기업조직에서 동일 직무나 직위에서 장기간 근속한 고참의 지위와 기득권이 급격히 위협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고참과 신참의 '정보 비대칭성'의 완화, 기업의 성장정체로 인한 연공적 보상확대와 승진의 어려움, 조직의 다양성과 복잡성 증가를 배경으로 꼽았다.

이에 따라 고참은 고인건비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고용불안이 가중되고 있고, 고위직과 신참의 소통을 저해하는 장애물로 취급받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고참은 향후 다가올 베이비붐 세대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선행학습의 기회라는 점에서 문제계층으로 취급할 수는 없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기업이 고참을 기업조직의 소중한 인적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중요한 시험대에 놓여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배노조 수석연구원은 "고참 전체의 관점보다는 향후 지속가능한 조직성장을 지원하고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진정한 고참'에 대한 조건 정의를 통해 그들이 더욱 생존력을 갖고 조직에 도움이 되는 고참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배 연구원은 진정한 고참의 4가지 조전을 제시했다. 첫 번째 조건은 '솔선수범'이다. 솔선수범은 다른 조건에 전제 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신참의 행동양식에 전파돼 업무의 완성도를 극대화하고 신참 및 중고참의 조직몰입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봤다.

두 번째 조건은 '개선력 발휘'이다. 진정한 고참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문제의식과 도전의식을 바탕으로 현상 개선에 주력해야 한다는 것. 세 번째 조건은 '전문성 확보'로 후배사원의 롤모델과 학습문화에 공헌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부하육성'이다. 고참의 부하육성 노력은 장기간의 경험을 통한 암묵지를 신참에게 전수하는 환원과정으로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