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확실성 요인..단기자금 1년새 90조 증가

입력 2009-11-18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9월 기준 시중 단기자금 645조5000억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단기부동자금이 1년새 90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시중의 단기자금은 약 645조5000억 원으로, 지난해 9월(557조9000억 원)보다 87조6000억 원 증가했다.

단기자금은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을 포함한 협의통화(M1ㆍ말잔)와 머니마켓펀드(MMF), 양도성예금증서(CD), 매출어음, 종금사 및 증권사 자산관리계좌(CMA), 환매조건부채권(RP), 단기 금전신탁 잔액 등을 더한 수치다. 이 수치에는 금융회사 간 상호 거래로 중복된 부분은 제외돼 있다.

여기에다 지난 1년간 증권사 고객예탁금 증가분 약 4조4000억 원을 단순 더하면 단기자금은 92조 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위기 이후 작년 동기 대비 단기자금 증가율을 분기별로 보면 작년 9월 말 5.63%, 12월 말 4.80%였으나 올해 3월말 12.78%로 급증했다. 6월 말에는 11.25%로 다소 주춤했으나 9월 말 15.71%로 다시 급증했다.

이처럼 단기부동자금이 계속 불어나는 이유는 경제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코스피지수가 한때 1,700선까지 급등한 뒤 1,500선대로 내려앉으며 본격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데다 부동산 시장마저 각종 규제로 거래가 위축되면서 시중자금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중자금은 은행으로 몰리고 있으며, 특히 만기가 짧은 단기 금융상품 쪽으로 쏠리고 있다.

만기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은 지난 6월 이후 석달간 9조5000억원 증가한데 반해 3년 이상 정기예금은 같은 기간 1조6000억원 감소했으며, 실세요구불예금을 포함한 수시입출식 예금도 지난 8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서 10월까지 석달간 9조9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은행의 대출증가세는 주춤해지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예금은행의 총 대출금 증가세는 올해 1월 13.0%, 2월 12.7%, 3월 12.1%, 4월 10.8%, 5월 10.0%, 6월 8.8%, 7월 7.6%, 8월 7.3%, 9월 6.4% 등으로 둔화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