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팔성 회장 "내년 해외 은행 M&A 본격 진출"

입력 2009-11-18 09: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을 방문 중인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내년쯤 해외 은행 인수합병(M&A)에 본격 진출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 회장은 17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열린 '우리 글로벌 OK 서비스' 론칭 행사에 참석해 "우리 자산의 90%가 국내에 묶여 있다"며 "이를 해외로 진출시키는 것이 먼 장래를 봐서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씨티은행이나 스탠더드 차타드 은행 등의 한국 진출 사례에서 보듯 해외 진출시 지점 형태가 아니라 현지 은행을 인수해 완전히 현지 법인으로 가는 것이 법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유리하다고 본다"며 "특정 (인수) 은행이나 지역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내년쯤 계획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리먼브러더스 인수 논란 등과 관련해서는 "과거 너무 크면 망하지 않는다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 라는 말이 있었지만, 내 생각에는 우리가 리먼 같은 큰 금융그룹을 인수해서 경영을 할 수 있겠느냐(Too big to manage)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말로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이 회장은 이날 우리금융그룹의 우리프라이빗에퀴티와 금호종금, 영우&어소시에이츠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인수한 월가의 AIG 건물을 둘러보고 렌트 및 향후 운영 방안 등을 보고 받았다고 한다.

그는 "워낙 싸게 샀기 때문에 지금도 그 시세보다 훨씬 더 주고 사겠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며 인수 가격에 만족감을 보였지만, 임대계약이 끝나 연말에 렌트가 빠질 예정인 19층짜리 부속건물을 어떻게 할지, 또 건물 리노베이션 계획 등 구체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보고 못받았다", "우리가 직접 하는 것이 아니라 컨소시엄이 하는 것", "AIG 인수 결정은 내가 직접 한 것이 아니다"는 등의 답변으로 피해갔다.

현지 부동산 업계에서는 건물 인수가격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월가 지역의 상업부동산이 최악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당분간 운영 관리 및 임대나 리스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그는 최근 금융계 인사 바람 등과 관련된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금융그룹의 실적이 올해 많이 좋아졌고 내년에는 훨씬 좋은 실적이 나올 것으로 본다"면서 "내부적으로는 비용절감을 위해 지속적인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며 `실적으로 평가받겠다'는 취지로 우회 답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