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ity산업 신성장동력으로 부상

입력 2009-11-02 15: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향후 5년간 국비 4900억원 집중 투자

정부는 오는 2013년까지 총 49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유시티(U-City) 조성과 관련 산업을 본격적으로 개발한다.

국토해양부는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제1회 유비쿼터스 도시위원회'를 개최하고 U-city의 발전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전략인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2009~2013)'을 심의·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은, 건설과 IT의 융복합을 통해 교통, 환경, 에너지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는 U-City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차원의 추진전략이다. 특히 U-City 산업을 한국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고자 마련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첨단정보도시 구현이라는 비전에 따라 ▲도시관리 효율화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도시서비스의 선진화 등 3대 목표를 제시했다.

추진전략으로 U-City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계획·건설·관리운영 등 U-City 전반에 걸친 제도적 기반을 조기에 마련하고 'U-City 활성화 지원대책' 등 관련 규제개선 및 지원방안도 조기 시행한다. 또 U-City 서비스의 표준 정립 및 정보 유통·연계방안, 개인정보 보호 및 재난·재해 침해방지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선 연구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U-City 관련 핵심 원천기술의 조기 국산화 및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테스트 베드(Test-bed) 구축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실증·시험을 지원한다. 또 관련 부처간 기능조정 및 부처별 개발된 기술의 공동활용 등을 통해 기술개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관련산업 육성을 위해선 U-City 시범도시 지원을 통해 U-City 성공모델 및 해외수출모델을 창출한다. 이어 전문인력 양성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U-City 관련 인적 기반을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한국 주도의 'U-City 세계포럼' 등 국제협력체계를 조기에 구축해 해외 진출을 위한 기반을 선점하고 해외 로드쇼 및 전시회 등 해외 수출 지원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 과정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U-서비스를 창출한다는 게 국토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U-City 기반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제공해 도시 거주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게 된다.

특히 관련 R&D를 통한 체감형 서비스를 발굴하고, U-City 건설·운영 단계에서 민간의 적극적 참여를 제고, 더욱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향후 5년간(2009년~2013년) 국비 약 4900억원을 집중 투자하며 투자액은 제도기반마련·기술개발에 1400억원, 산업육성지원·U-서비스 창출에 3500억 등에 쓰인다.

정부는 소요경비의 차질없는 확보는 물론, 민관합동방식 등 민간분야의 참여를 적극 유도, 재원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민관 협업을 도모하기 위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민·관의 주요인사가 대거 참여하는 유비쿼터스도시위원회를 중심으로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에 정부는 핵심 인프라 및 기술개발, 각종 제도·지원방안 마련 및 인력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민간은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개발 등에 각각 집중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