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선박 건조기술, 내년부터 한국 추월"

입력 2009-10-22 15:58수정 2009-10-23 00: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연구원 보고서…"고부가가치화로 대응해야"

무섭게 생산설비 확대에 나서고 있는 중국의 선박 건조기술이 내년부터 우리나라를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KIET)이 22일 내놓은 '글로벌 위기 이후 조선산업의 변화와 중국 지원정책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건조능력은 올해 1600만 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에서 내년에는 2000만 CGT로 늘어나게 된다.

반면 우리나라의 건조능력은 올해 1650만 CGT에서 내년에는 1800만 CGT로 늘어나는데 그쳐 중국에 처음으로 뒤지게 된다.

중국은 국가적으로 조선산업을 중점 육성대상 산업의 하나로 지정해 국영기업인 중국선박중공업집단공사(CSIC)와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CSSC) 산하 조선업체들을 중심으로 3대 조선기지를 대대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오는 2015년까지 조선산업 전반에서 한국을 제친다는 목표를 세우고 톈진(天津), 다롄(大連) 등 보하이만 지역, 상하이(上海) 등 양쯔강 지구, 광저우(廣州) 등 주장지구를 중심으로 대대적 설비 확충에 나서고 있다.

클락손(Clarkson)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조선소 확충이 거의 완료되어 가고 있어 2009년 이후 중국의 건조능력이 한국을 추월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조선소는 수리 및 해체부문까지 포함할 경우 2007년 기준 1101개사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의 조선협회 회원사는 385개사에 달하고 있다.

실제로 올 들어 처음으로 월간 세계 발주량이 100만 DWT(재화중량톤수)를 넘은 지난 6월에 중국이 전체 발주량의 87.1%인 161만4000 DWT(적화중량톤)를 가져간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10.9%(20만1000 DWT)에 그칠 정도로 중국의 '싹쓸이' 수주가 이뤄졌다.

아울러 중국은 자국 해운업체들의 노후선박 퇴출을 장려하는 한편, 2조 달러가 넘는 외환 보유고를 바탕으로 국영은행을 통해 해외 선주들에게 파격적인 금융지원을 제공하는 등 조선업 육성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2015년 한국을 추월한다는 중국의 목표는 세계 조선시황이 유지됐다면 실현가능한 목표였을 것"이라며 "세계 조선시장이 글로벌 금융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건조능력 외의 다른 목표는 실현이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즉 내수진작과 일부 선박금융 제공에 의한 일부 해외 수요 확보로는 가동률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어렵고, 3대 조선기지가 대부분 신설 투자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투자부담을 해소하는 데에도 상당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따라서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한 중국의 빠른 건조능력 향상과 수주량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며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한국의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국내업체들은 해양구조물 등 고부가가치 영역의 차별화와 선종 전문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며 "고부가가치 영역에 대한 차별화, 관련, 혹은 비관련 다각화, 그리고 선종 전문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노력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글로벌 포지션을 강화해 갈 수 있는 바람직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