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09/10/600/20091007104451_banky_1.jpg)
은행권 신용 담당자 관계자의 말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연체율 기준을 잡을 때 평균 하루에서 한 달사이로 책정한다.
기업이나 개인들이 연체를 했다면 하루에서 한 달까지 이 기간 내 연체 기준을 평균으로 잡고 통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한두 달 연체율이 올라간다고 해도 당장 수익성에 비상이 걸리는 것은 아닌 셈이다.
이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8월말 기준으로 연체율이 올랐다고 해도 9월말이나 10월쯤 되면 다시 내려가기 마련”이라며 “지난 기준으로 연체율이 올랐다고 언론에서 호들갑을 떨어봐야 사실상 수익성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문제는 언론이나 금융당국의 호들갑에 의해 정작 자금을 필요한 기업에 지원하지 못한다는데 있다.
은행 관계자는 “연체율은 건전성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은행에서도 최대한 신중히 검토를 한다. 하지만 한 두달 정도 연체율이 소폭 오르면 마치 경영에 큰 차질을 빚는 것처럼 시장에 알려지고 있어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게 된다”며 “이 때문에 정작 당장은 자금이 어렵지만, 성장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에게 자금을 못 빌려주는 경우도 있다”고 토로했다.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골칫거리는 단연 일자리 창출이다.
하지만, 중소기업을 지원해야 하는 은행들이 연체율 걱정에 자금을 대기업이나 안전한 기업에만 취중 한다면 그만큼 성장가능성과 기술력은 있지만 자금이 부족한 기업들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는 결국 실업률과 직접적인 연계되는 셈이다.
이미 수차례 위기를 겪고 더욱 견고해진 은행들의 연체율 걱정보다는 정부와 금융당국, 언론이 앞장서서 중소기업 지원이 좀 더 원활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만약 연체율 비중이 신경 쓰인다면 통계를 하루에서 한 달사이가 아닌 두세 달 이하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해볼만 하다.
보이는 식의 사회공헌 활동 100개를 하는 것보다 튼튼하고 안정된 중소기업을 살리는 것이 진정한 은행의 역할이자 사회공헌이라는 인식이 더욱 시급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