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역 양방향 무선인터넷시대 앞 당긴다

입력 2009-09-30 09: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2013년까지 3조원 규모 성장 추진

최근 통신시장에서 신성장 사업으로 급부상한 무선인터넷이 정부의 육성 의지와 맞물려 규모와 기술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방송통신위원회는 30일 '무선인터넷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13년까지 3조원 규모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는 지난 3월 '모바일인터넷 활성화 계획'을 발표한 이후 달라진 시장 상황과 정책을 개선,보완한 것이다.

특히 이번 정책 발표는 최근 이동통신 요금인하,스마트폰 도입 확산, 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 창립 등 일련의 정책들과 맞물려 무선인터넷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2013년까지 '광대역 양방향 무선인터넷 글로벌 선도' 라는 청사진을 제시해 관련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동안 유선 초고속인터넷은 세계 최고 수준인데 반해 무선인터넷 분야는 미국, 일본 등에 비해 상당히 뒤쳐져 있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이와 함께 무선 데이터 요금에 대한 불신, 이통사의 폐쇄적인(walled garden) 사업전략에 의해 시장이 침체되면서 ‘반쪽짜리 인터넷 강국’이라는 견해도 제기돼 왔다.

방통위는 지난 7월부터 KISDI, ETRI, 이통사, CP, S/W업체 등 관련 이해당사자들로 구성된 전담반을 편성하고, 무선인터넷 시장이 발달된 일본, 미국 등을 벤치마킹했다.

제2차 무선인터넷 활성화 추진계획은 이동통신망 중심의 모바일인터넷 범위를 뛰어넘어 와이브로(Wibro)ㆍ무선 랜(WiFi) 등 무선 기반 서비스와 이들 서비스 상호간에 융합된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서비스를 무선 기반으로 제공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망개방 측면에서도 사업자 네트워크에 대한 물리적인 개방뿐만 아니라 실제 이용자 측면에서 플랫폼, 진입ㆍ유통채널, 단말기, 전송채널(Side loading) 까지 포함하는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망개방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나섰다.

이를 위해 ▲무선인터넷 정액 이용자의 비율 10%→40% 확대 ▲풀브라우징이 가능한 스마트폰의 보급 비율을 5%→20% 확대 ▲무선인터넷 콘텐츠 시장을 1조원→3조원 육성 ▲시장 수요에 대응한 무선 광대역 인터넷망을 확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방안도 내놨다. ▲무선인터넷 요금인하 ▲스마트폰 보급 확산 ▲망개방 제도개선 ▲콘텐츠 시장 활성화 ▲무선 광대역 인터넷망 기반 수요창출 등 5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무선인터넷 요금 인하는 이미 지난 27일, 이동통신 요금인하 발표에서 이통 3사의 정책 토대로 시행에 옮긴다.

이통사의 네트워크와 무선 랜(WiFi) 또는 와이브로 간 결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트랙픽 증가로 인한 우려는 상당부분 해소한다는 전략이다.

스마트폰 보급을 확대는 유선처럼 인터넷 직접 접속이 가능하도록 Wibro, 무선랜 등 관련 모듈이 탑재돼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를 확산시키고, 단말기와 콘텐츠간 호환성을 확보한다.

지금까지 이통사 네트워크 개방 측면에서만 논의됐던 무선망 개방 역시 이용자 측면에서 느꼈던 불편을 해소하고, 관련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무선인터넷 망개방으로 방향을 잡았다.

또 앞으로는 유선인터넷을 통해 방송사나 포탈 등 다양한 사이트에서 동영상, 사진, 음원 등을 PC에 다운받아 저장한 다음 다시 휴대폰으로 전송, 사용할 수 있는 사이드로딩(Side loading)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사이드로딩이 가능해 지면 콘텐츠사업자(CP)들은 휴대폰용 콘텐츠를 이통사에 종속 받지 않고 판매가 가능해 수익 창출이 기대된다.

이와 함께 콘텐츠 활성화 기반 구축사업 일환으로 ‘무선 인터넷 통계 분석 시스템’ 구축과 국내 콘텐츠 해외 판매시 복잡한 거래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국내 콘텐츠 해외 판매 센터(Hub)’를 구축ㆍ운영한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2차 무선인터넷 활성화 계획의 주안점은 국내 무선인터넷 시장의 전체적인 규모를 키우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관련 분야의 가치사슬의 선순환을 가져오는데 초점을 맞췄다”며 “이를 통해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는 무선인터넷 분야에서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높였으며, 정부 역시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