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Vs 안국약품 특허소송, 화이자 패소

입력 2009-09-24 19: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법원 ‘노바스크’ 물질특허 무효 확정 판결, ‘화이자’ 상고 기각

대법원이 화의자의 고혈압약 ‘노바스크’의 물질특허를 마침내 무효화 시켰다.

대법원은 24일 화이자가 상고한 ‘노바스크’의 물질특허 무효와 안국약품 ‘레보텐션’에 대한 권리범위 확인 등 2건에 대해 안국약품에 최종 승소 판결했다.

이 사건은 지난 2006년 안국약품이 ‘노바스크(암로디핀베실산염)’의 이성질체 의약품인 ‘레보텐션(에스암로디핀베실산염)’을 개발하자, 화이자가 특허 침해를 이유로 판매금지 가처분 등 제반 소송을 제기하고, 이에 맞서 안국약품이 물질특허 무효 및 권리범위확인 심판을 청구하면서 확대됐다.

이 과정에서 특허심판원(1심)에서는 ‘화이자’가 승소했으나, 특허법원(2심)에서는 베실산암로디핀의 물질특허는 무효이며, 안국약품의 ‘레보텐션’이 ‘노바스크’ 특허에 속하지 않는다는 권리범위 확인심판에서 모두 안국약품의 손을 들어주며 상황은 반전되었고, 이번 대법원 판결에서 최종 확정됐다.

안국약품 관계자는 “발매 당시 기존 암로디핀 제제와의 차별성으로 시장에서의 반응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인 판매금지로 성장이 주춤하는 시련도 겪었지만, 이제 4년여에 걸친 긴 소송에서 승소함으로써 매출 증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패소한 화이자측은 침통한 분위기다.

한국화이자제약은 판결직후 즉각 보도자료를 통해 대법원이 노바스크의 특허를 무효라고 판결한 결과에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한국화이자제약 이동수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대법원 판결은, 혁신적 신약을 연구 개발하는 제약산업의 노력과 가치를 부정하고, 특허보호에 위배되는 결정이기에,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대법원 판결의 영향은 ‘레보텐션’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안국약품이 승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던 ‘레보텐션’의 제네릭을 발매하고 있는 종근당, ‘노바스크’의 제네릭을 발매하는 국제약품과 현대약품, 암로디핀과 아토르바스타틴 복제합의 제네릭을 발매하는 한미약품 등 국내 제약사들을 비롯해, 암로디핀과 올메사탄 복합제인 ‘세비카’를 판매하는 다이이치산쿄 등 다국적제약사에게 있어서도 해당 제품의 판매 중단 및 손해배상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대법원 판결로 에스암로디핀을 포함한 카이랄 약물에 대한 관심과 영업활동이 더욱 증대되고, 특허에 도전하는 개량신약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