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권 산업클러스터 150개 단지로 대폭 확대

입력 2009-09-22 11: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663억원 투입 산업단지간, 광역권간 연계, 협력사업 발굴

지역단위 산업정책의 중추 기능을 해온 '산업단지 클러스터 사업' 대상 산업단지가 종전 12개에서 150개로 대폭 확대된다.

지식경제부는 22일 기존의 산업단지 클러스터 사업을 '5+2 광역체제'에 맞춰 이같이 개편해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산업단지 클러스터 사업은 미국의 실리콘밸리나 일본의 도요타시처럼 기업이 집적된 산업단지와 인근의 대학, 연구소 등 관련기관을 연계시켜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2005년부터 시작됐다.

그러나 농공단지를 포함해 전국 742개 산업단지 가운데 사업대상이 12개에 불과한 탓에 사업성과 확산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대상 산단을 거점단지 25개와 연계단지 125개 등 150개로 늘린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또한 효율적인 사업지원을 위해 주관기관을 산업단지공단으로 일원화하고 산단공 지역조직도 수도권 3개 지역본부를 1개 본부로 통합하고 충청과 강원본부를 신설하는 등 1본사 6본부 19지사를 광역형태로 전환키로 했다.

개편이 이뤄진 뒤 첫해인 내년에는 663억원을 투입해 산업단지간, 광역권간 연계, 협력사업을 발굴해나가기로 했다.

기업지원서비스 11개 분야도 ▲생산기술사업화 ▲제조기술효율화 ▲기술 및 경영지원 ▲토털 마케팅 ▲현장맞춤형 교육 등 5개로 체계화·단순화하고 광역위원회, 선도산업지원단, 지자체, 테스크포스 등 유관 지원기관과의 협조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향후 광역권 산학연 네트워크가 정착단계에 다다르면 민간 주도의 자생적 클러스터로 점차 전환할 계획이며, 내년부터 거점단지(25개) 중 3~5개는 자생적 클러스터 운영 모델로 시범운영할 예정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세부 추진방안을 마련하고 사업 운영요령 등 규정을 정비한 뒤 내년 4월부터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