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쌍용차 재무적 투자자도 회생방안으로 고려"

입력 2009-09-13 10: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경영을 지속적으로 책임질 전략적 투자자(SI)에 쌍용자동차를 매각하는 것뿐 아니라 펀드 등 재무적 투자자(FI)가 쌍용차의 새로운 투자자가 되는 것도 회생방안으로 고려키로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13일 "쌍용차의 매각 대상이 반드시 전략적 투자자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현 쌍용차에 재무적 투자자가 결합하는 형태도 회생 방안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쌍용차의 노사 분쟁이 격화되기 전부터 "쌍용차의 생존을 위해서는 자금 투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3자 매각 외에는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러나 노사 분쟁이 가열되는 시기를 전후해 쌍용차에 관심을 가져온 곳들은 대체로 인도, 러시아 등지의 자동차업체들이어서 투자 의지와 경영 능력 등이 검증되지 못한 반면 경영능력이 검증된 자동차그룹 등은 글로벌 경제침체로 인한 자금여력 등의 문제로 매수후보로 나서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쌍용차의 새 투자자로 재무적 투자자를 고려하는 것도 쌍용차에 투자 가능한 주체를 늘려 매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정부는 쌍용차의 새 투자자가 재무적 투자자일 경우 자금 동원력과 평판 등에서 문제가 없는 주체로 한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재무적 투자자가 쌍용차의 새 투자자가 될 경우, 자금의 출처나 성격, 자금 동원력에서 문제가 없는 건전한 투자자여야 할 것"이라며 "성격이 불분명한 소규모 사모펀드 등은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