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 지역경제 회복 '찬물'

입력 2009-09-11 14:05수정 2009-09-11 2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인파 몰리는 '대형행사 취소' 방침에 지자체 반발

최근 신종 인플루엔자 확산 여파로 지방자치단체 행사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지역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11일 행정안전부와 관계부처에 따르면, 올해 9월 이후 연말까지 계획된 지자체 행사 949건 중 무려 233건(24.5%)이 취소됐고 53건(5.6%)은 연기됐으며, 123건(13.0%)은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행안부가 신종플루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지난 3일 '연인원 1000인 이상, 2일 이상 지역축제 및 행사'에 대해 취소하거나 연기할 것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부천무형문화엑스포’(부천)와 ‘금융박람회’(부산)와 ‘광주과학축전’(광주), ‘충주세계무술축제’(충북), ‘진도아리랑축제’(전남), ‘봉화송이축제’(경북) 등 지역의 주요 문화행사 및 축제가 잇따라 취소됐으며, ‘울산세계옹기문화 엑스포’(울산)와 ‘광주 세계광엑스포’(광주), ‘춘천국제연극제’(강원), ‘서귀포 칠십리 축제’(제주) 등의 행사는 연기됐다.

부천시가 주최하는 '부천무형문화엑스포'의 경우는 지난해 연인원 25만 명이 참가한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행사로서 올해도 60억원의 예산을 들여 약 30만 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아쉽게도 개최가 어렵게 됐다.

이에 대해 행안부와 보건당국은 지자체가 대규모 행사나 축제 등의 문화행사는 최대한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는 신종플루 확진환자는 지난 10일 현재 6900명으로 하루만에 691명이나 급증하는 등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신종플루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막대한 비용을 들인 지자체 행사 취소로 인해 지역경제에 적지 않은 타격이 있겠지만 대국민 건강차원에서 행사를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반인들에게도 "9월 중순이후 일교차가 심해지는 환절기에는 전염 가능성이 더욱 커지는 만큼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행사를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지자체들은 지역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방침에 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특히 일부 지자체의 경우는 정부 방침에 반발해 행사 개최를 강행할 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축구, 야구 등 수만 명이 모이는 스포츠 경기의 경우 어떤 제재 조치도 취하지 않으면서 지역의 행사만 취소를 강요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다.

실제로 정부는 행안부가 지자체 행사에 대한 취소 방침만 밝혔을 뿐 스포츠경기나 대중교통 이용 등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가 주관하는 대규모 행사나 스포츠 경기 등은 별도의 제재조치를 취하지 않으면서 지자체 행사만 취소를 종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신종플루의 전염 가능성만 본다면 문화행사보다 대중교통이나 스포츠 경기의 위험성이 더욱 크다"면서 "그렇다면 지하철 운행도 취소하고 스포츠 경기도 모두 취소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처럼 지자체의 반발 기류가 확산되자 정부는 11일 기존 지침을 완환해 '만 5세 미만 영유아나 65세 이상 노인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에 대해서만 취소 또는 연기하도록 하고 그 밖의 행사는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다만 행사를 실시할 때는 발열검사 실시, 행사장내 신고센터 운영 등 복지부가 정한 감염예방조치를 충실히 따라야 한다.

하지만 정부의 지침 번복에도 불구하고 이미 행사를 취소하기로 방침을 정한 지자체들의 경우 재개 여부를 놓고 적지 않은 혼란이 초래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급속한 확산에 놀란 정부가 지역경제의 현실은 배려하지 않은 채 섣부른 행정지침을 남발한 꼴이어서 지자체의 불만과 원성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