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 회장 신뢰성 바닥...사퇴 가능성 제기

입력 2009-09-11 08: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B지주 M&A 올스톱ㆍ건전성 추락도 한 몫

황영기 KB금융지주 회장이 금융당국의 ‘직무정지 상당’의 중징계 여파로 사퇴 가능성이 솔솔 제기되고 있다.

법적소송을 한다고 해도 이미 떨어질 대로 떨어진 신뢰성을 회복하기 어렵고 무엇보다 이 기간 동안 KB금융지주 경영에 적지 않은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황영기 KB금융지주 회장이 우리은행장 재직시정 파생상품 투자손실로 금융당국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으면서 스스로 물러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금융권 한 고위 관계자는 “KB금융지주는 현재 외환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등을 인수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준비를 해왔지만 황 회장의 징계로 사실상 모두 올 스톱 된 상태”라며 “특히 그가 선임된 이후 KB지주 이미지는 심각할 정도로 추락했고 건전성과 도덕성에도 상당한 타격을 받게 됐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볼 때 황 회장으로서는 결국 사퇴 쪽으로 가닥을 잡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예측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사실 지금으로서는 어떤 판단도 쉽지 않다. 하지만 그나마 남아있는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끝까지 법정싸움으로 몰아간다면 결과적으로 모두가 더 힘들게 될 것”이라며 “어떻게 보면 지금으로서는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회사를 위한 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황 회장의 사퇴는 외부적 요인도 상당한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대주주인 예보가 조만간 예보위원회에서 황 회장의 대한 징계 확정은 물론 파생상품 투자 손실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까지 진행할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것.

금융계에서는 예보가 실제로 손해배상 소송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최종 결론이 나오지 않은 만큼 황 회장으로서는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예보 관계자는 “법률적인 검토를 통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은행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사퇴 종용을 위한 추가 압박에 나서고 있는 셈이다.

사회단체인 경제개혁연대 역시 논평을 통해 “무리한 규모 확장 전략으로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지주의 심각한 경영상 어려움에 직접적 원인을 제공한 황 회장에 대한 징계 조치는 당연하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논평에서는 “황 회장은 향후 KB금융지주 회장 재선임에 욕심을 낼 것이 아니라 금융회사 임원으로서의 자격이 부족함을 깨달아야 한다”며 “자신의 무리한 경영 전략으로 인해 커다란 손실을 본 우리은행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서라도 당장 KB금융지주 회장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약해진 그의 입지도 이번 결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민은행 이사회가 강정원 국민은행장과 황 회장 사이에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는 이야기가 예전부터 나온 만큼 황 회장의 사퇴 압박은 더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만약 황 회장이 물러나면 강 행장이 KB금융지주 회장직을 대행하도록 되어 있다”며 “결국 강 라인들은 황 회장이 사퇴하거나 물러나주는 것을 내심 바라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러나 금융계의 예측만큼 황 회장이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황 회장은 금융위 제재결정 직후 “제 입장이 수용되지 못한 점이 안타깝다.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심사숙고 한 후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언급, 사실상 금융위 제재 결정에 수긍하지 않을 것임을 사실상 시사하기도 했다.

이같은 황 회장의 발언을 놓고 금융권은 재심청구, 행정소송 등 법적 불복조치를 취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황 회장이 검투사란 별명을 그냥 얻은 것은 아니다”라며 “사퇴설을 전망하는 사람은 그를 잘 몰라서 하는 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황 회장과 예보의 어색한 관계가 하루 이틀 사이에 벌어진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어차피 배수진을 칠 바에는 재심청구를 통해 정부의 콧대를 꺾고 명예회복이라도 되찾겠다는 의지를 피력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황 회장과 정부(예보)의 어색한 관계는 하루 이틀 만에 벌어진 일이 아니다”라며 “만약 금융당국에서 제재를 했다고 해서 쉽게 굴복할 인물이었다면 처음부터 (예보와) 껄끄러운 관계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금융권 내부에서는 이번 제재가 금융당국이 은행권 ‘길들이기’로 보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어서 오히려 법적 대응이 황 회장에 유리하게 돌아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