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실질 GNI 5.6% 증가…1년만에 '+' 전환

입력 2009-09-03 08:51수정 2009-09-03 09: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1년이내 증가율 최고치..."국민 체감경기와 호주머니 사정 개선"

교역조건 개선에 힘입어 지난 2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국민 총소득(GNI)이 1년만에 큰 폭의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무려 21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 잠정치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NI는 전기대비 5.6% 증가해 작년 2분기 이후 1년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실질 GNI는 작년 3분기에 전기대비 -3.6%로 돌아선 후 4분기에 -1.6%, 올해 1분기에 -0.2%를 나타낸 바 있다.

그러나 지난 1988년 1분기의 6.2% 이후 21년3개월만에 최고치로,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의 실질 구매력이 급속히 증가했다는 것을 뜻한다.

실질 소득이 이처럼 큰 폭으로 증가한 주된 배경은 지난 1분기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교역조건이 크게 개선된 영향으로 실질 무역손실이 4조9000억원 축소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해외 근로소득ㆍ이자ㆍ배당소득과 같은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 흑자 규모가 1조8000억원 늘어난 것도 우리나라의 실질 소득 증가에 기여했다.

경제성장률 역시 전분기에 비해 2.6% 상승하면서 5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지난 7월말에 발표한 속보치 2.3%보다 0.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 7월 속보치 발표 이후 입수한 6월분 산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및 금융기관 등의 분기 결산자료를 추가로 반영,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전년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마이너스권에 머물며 -2.2% 역성장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전기전자, 운수장비 등 대부분 업종의 생산 호조로 전기대비 8.9%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세 확대와 운수보관업, 사업서비스업 등의 증가세 전환으로 같은 기간 1.1% 증가했다.

그러나 건설업은 토목건설이 전분기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로 0.2% 감소했다.지출별로는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내구재 소비지출이 크게 늘어난 데다 서비스 소비지출 증가세 역시 확대돼 전기대비 3.6%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작년 4분기 이후 마이너스권을 맴돌았으나 기계류와 운수장비 모두 전분기 큰 폭 감소로 인한 기저효과를 반영, 전기대비 10.1%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내수는 민간소비 지출과 설비투자 증가에 힘입어 전기대비 3.4%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국민 총소득 GNI가 1년 만에 플러스로 돌아서면서 우리 국민의 체감경기와 호주머니 사정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하반기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하락 등으로 실물경제가 재차 내리막길로 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 악화 가능성, 고용시장 등 제반 변수를 고려한다면 GNI 회복세가 지속될 것인지는 두고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