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슬프지 않은 '애자', 영화도 '애자'다...

입력 2009-08-31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작심하고 울리려고 만든 영화는 모름지기 슬퍼야 한다. 불치병, 모정, 사랑 등 슬픈 코드들을 잔뜩 넣은 ‘애자’가 지향하는 바다. 슬픈 영화인데, 이따금씩 웃음이 터져 나온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대중영화가 된다.

주인공 이름(최강희)이 영화 애자의 표제다. 젊은층 사이에서는 덜 떨어진 사람을 속되게 일컬어 ‘애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화는 제목 따라 간다는 말은 괜한 속설이 아니다. 말 그대로 애자가 된 영화 애자가 증명하고 있다.

애자는 개성 강하고 선머슴 같은 캐릭터로 설정된다. 엄마(김영애)와는 애증 관계다. 자주 싸우고 멀리 떨어져 있지만 금세 화해하는 모녀 관계를 드라마틱하게 드러내기 위한 캐릭터 장치다. 평소 사이가 좋지 않던 모녀를 죽음이란 명제 앞에서 화해시키며 극적인 눈물을 유도한다.

‘청와전설(靑蛙傳設)’로 불리는 청개구리의 설화와 비견되는 이야기다. 얼굴만 보면 시집가라고 들들 볶아대는 엄마와 툭 하면 싸우고, 멀리 떨어져 지낸 청개구리 딸이다. 참하고 평범하게 지내길 바라는 엄마의 마음과 달리 ‘욱’하는 성미로 엄마를 애태웠다. 살아생전 다하지 못했던 효, 그 아쉬움이 영화를 관통하는 또 하나의 슬픈 코드다.

슬픈 영화의 공식들을 오차 없이 사용한 애자다. 철부지 동생이 형의 죽음과 함께 성장한다는 ‘안녕 형아’, 일곱살 지능을 지닌 스무살 여자가 엄마의 죽음을 통해 한 뼘 자라는 ‘허브’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가족의 죽음과 성장 메시지가 빚어내는 가족 영화, 슬픈 드라마는 닳고 닳은 소재이기도 하다.

최강희의 눈물 연기는 압권이지만, 설익은 부산 사투리는 영화의 맥을 끊는다. 영화의 배경을 부산으로 설정한 것 자체가 불필요한 노력인 듯 보인다. 무엇 하나 특별한 것 없는 진부함으로 긴 러닝타임을 이어가는 영화 애자의 헛수고는 ‘슬프지 않음’으로 마무리된다. <뉴시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