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말까지 SKT 제외한 타사 제품 공급 어려워
"SK텔레콤이 (주변에 추측하듯이) 지원 약속을 해 주면 좋겠다. SKT의 입장에서 SK텔레시스는 국내외의 단말기 제조사중 하나일 뿐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09/08/600/20090827062932_dhkim_1.jpg)
하지만 빠르면 10월6일 출시될 'W'첫 모델이 SKT향으로 개발돼 공급될 계획이고,SK텔레시스가 한동안 SKT를 제외한 이동통신사에 제품을 공급할 여력이 없다는 점에서 SKT와의 협력이 신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란 관측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세계 유수의 휴대폰 브랜드들도 힘을 쓰지 못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곳이 국내 휴대폰 시장”이라면서“SK에서 신규 브랜드 진출을 결정했을 때에는 그룹내 조율없이 들어 올 수 있었겠냐”고 말했다.
실제로 윤 전무도“동시에 3개 사업자에 맞춰 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내년 말까지는 SKT를 제외한 다른 이동통신사에 제품을 공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해 SKT 공급이 초기 사업성과의 열쇠임을 드러냈다.
앞서 SK텔레시스가 첫 번째 신규 사업으로 진출한 인터넷 전화단말기 사업도 SK그룹 차원의 지원이 성공적인 런칭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도 휴대폰 사업의 행보를 가늠할 수 있다.
SK텔레시스는 지난해 하반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 사업에 진출해 현재 100만대 이상의 누적 판매를 올렸다. 올해 들어서 월 12만~13만대가 판매돼 인터넷 전화 단말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SK브로드밴드 없이는 불가능했던 것인데, SK텔레시스가 공급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 전부가 SK브로드밴드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SK텔레시스는 ‘W’를 월 3만대 수준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SKT의 월 국내 신규가입자 수가 18만명 전후인 것을 감안하면 SK텔레시스의 휴대폰 공급 비중이 10% 이상 차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윤 전무는 “SK텔레시스의 경영목표 중 하나가 관계사 관련 매출 목표를 줄이는 것”이라면서 “(그룹 내에서) 60~70% 매출을 해 주고 그 외에서 30~40%를 만들어 나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