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주택公 이지송 사장, 難題도 태산

입력 2009-08-22 00: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지송 전 현대건설 사장이 토지공사와 주택공사의 통합 공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으로 내정됨에 따라 이명박 정부의 핵심과제였던 양대 공사의 통합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 과정에서 이 사장의 역할에 대해 업계와 정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1일 국토해양부는 이지송 전 현대건설 사장을 오는 10월 출범할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으로 공식 임명했다. 이에 따라 신임 이 사장은 통합공사 공식 출범 이후 3년간의 임기 동안 사장으로 재임하게 된다.

자산규모 105조원으로 두번째로 큰 규모의 공기업이 될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사장을 맡게된 만큼 이 사장의 역할에 대한 기대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이 사장은 고령에다 민간 건설사 CEO출신이란 약점에도 불구, 폭넓은 경험과 업무추진력이 후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사장이 넘어야할 산도 만만치은 않은 실정이다.

우선 약 2년여간의 통합 논란으로 인해 감정의 골이 깊어진 양대 공사 직원들을 통합하는 문제가 급선무로 지적된다. 토공과 주공의 현재 임직원은 각각 2800여명과 4800여명에 이른다. 양 공사는 서로 겹치는 사업분야도 있는 만큼 일정 부분 구조조정도 필요하다. 이 경우 사내 직원들의 반발을 어떻게 무마할 수 있을지가 최대 관건이다.

특히 양 공사간 갈등의 상징인 본사 이전 문제도 여전히 '뇌관'이다. 더욱이 통합에 반대하는 토공 측이 통합공사 본사 이전지 선정 문제를 쟁점화 하면서 이 문제는 양대 공사와 지자체간의 문제를 넘어 정치 문제로 비화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도 명확한 입장을 못밝히고 있어 10월 공사 설립 이후에도 본사 이전 문제는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총 85조원에 달하는 통합공사의 부채 해결 문제도 이 사장이 해결해야할 난제다. 서민 주거복지가 주요 업무인 주공의 경우 앞으로도 보금자리주택을 통해 임대아파트를 공급해야할 입장인 만큼 부채 문제 해결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사업성이 없어 팔리지 않는 택지에 대한 해결도 통합공사가 고민해야할 사안이다.

이밖에 민간 기업 CEO출신인 이 사장이 통합 공사의 최대 숙원 사업인 주거복지 문제를 제대로 접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부채 해결이 요구되는 상황인 만큼 통합 공사가 지나친 수익사업에 매달릴 경우 주거복지 문제 해결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민간 기업 출신인 이 사장의 통합공사 사장 임명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