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대미 흑자 역대 1위·대중 적자 역대 2위…“미·중 차별화 흐름 지속”

한은, 20일 ‘2024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 발표
대미 경상수지 흑자 1182.3억 달러 ‘역대 1위’
대중 경상수지 적자 290.4억 달러 ‘역대 2위’
“대중 경상수지, 감소요인 ‘미·중 통상갈등’…증가요인 ‘내수부양정책’”

(한국은행)
미국과 중국을 상대로 한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차별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대미 경상수지는 흑자를, 대중 경상수지는 적자를 나타내고 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지역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경상수지는 990억4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328억2000만 달러)에 비해 흑자규모가 늘었다.

미국에 대한 경상수지는 1182억3000만 달러 흑자로 역대 1위를 경신했다. 기존 역대 1위는 2023년(877억6000달러)이었다. 경상수지 중에 상품수지도 1089억9000만 달러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기존 역대 1위는 2023년에 기록한 824억8000만 달러였다. 상품수지 중에 상품수출 역시 1818억 달러로 역대 1위를 경신했다. 본원소득수지 역시 184억 달러로 역대 1위를 경신했다.

대미 경상수지는 상품수지가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등의 수출 증가로, 본원소득수지가 배당수입 증가 등으로 흑자폭을 각각 확대한 영향을 받았다.

반면 대중 경상수지는 290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해 역대 2위를 나타냈다. 역대 1위는 2023년 292억5000만 달러 적자였다. 연간 기준으로는 2022년 적자 전환 이후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 중 상품수지도 325억3000만 달러 적자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역대 1위는 2023년 331억3000만 달러 적자다. 상품수지 중 상품수출은 931억9000만 달러를, 상품수입은 1257억1000만 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대중 상품수출은 반도체 등은 증가했으나, 화공품,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상품수입은 축전기(이차전지), 화공품 등을 중심으로 줄었다.

김성준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부 국제수지팀장은 ‘대미 흑자-대중 적자’ 차별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김 팀장은 “대중 경상수지는 증가요인도 있고 감소 요인도 있다”며 “미·중 통상갈등이 진행 중이고, 이로 인해서 중간재 수출이 감소할 수 있다. 증가 요인은 중국이 내수 부양 정책을 강하게 하고 있어 경기가 회복되면 수출도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미 경상수지는) 상품수지가 크게 늘었고, 본원수지도 크게 늘었다”며 “상품수지가 크게 늘어난 것은 미국의 견조한 소비 때문에 자동차 등 소비재가 늘었다. 기계류, 반도체 제조장비 등 자본재가 많이 나갔다”며 “또 하나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국에 직접투자를 많이 하면서 현지 생산을 위해 공장을 설립하거나 제품 생산을 위한 기계류, 부품을 많이 수출했다”고 부연했다.

김 팀장은 “미국과 중국간 차별화는 미국의 흑자규모는 줄겠지만 흑자는 될 것”이라며 “중국은 3년 연속 적자인데 올해 1~5월 보면 비슷하게 갈 것 같다”며 “(대미 흑자, 대중 적자) 그런 흐름이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일본에 대한 경상수지는 127억2000만 달러 적자로 전년(-157억7000만 달러)에 비해 적자규모가 축소됐다. EU에 대한 경상수지는 170억9000만 달러 흑자로 전년(58억5000만 달러)에 비해 흑자규모를 확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