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남연락소 전락 우려"…與野, 이종석 후보 청문회서 공방 [종합]

국회, 19일 이종석 인사청문회 실시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신성범 위원장이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시작하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6.19 (연합뉴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여야가 이 후보자의 대북관을 두고 강하게 충돌했다.

이 후보자는 19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이 남북관계 중심으로 외교·안보 노선을 정하는 '자주파'로 분류하는 데 대해 "자주파도 동맹파도 아닌 실익을 따라왔다"라고 반응했다.

이 후보자는 "저는 20년 전에도 보수 쪽에서는 '자주파'라고 비난했고, 진보 쪽에선 '동맹파'라고 비난을 했다"며 "어차피 국익에 따라서 대통령을 모시고 일을 보면 양쪽을 다 가게 되는 것이니 '자동파'라는 표현을 썼다"라고 설명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러시아와 굉장히 밀착돼 있고, 중국도 미·중 경쟁 과정 속에 북한에 가까이 가 있는 상황"이라며, 이 후보자를 향해 "우리 입장에서 혼자 자주적으로 (이러한 상황을) 상대하는 게 옳은가"라고 물었다.

이에 이 후보자는 "당연히 결정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하는 부분도 있지만, 오늘날 세계는 협력해야 하고 그런 점에서 한미 동맹이 가장 기본적인 우리의 바탕"이라고 답했다.

이 후보자의 잦은 교통법규 위반과 과태료 납부 사실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이 후보자는 2022년 3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속도위반 및 어린이보호구역 신호·지시 위반 31건이 적발돼 총 73만 원의 과태료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본인이 차량을 몰면서 딱지 몇 번 뗐는지는 기억하나"라고 묻자, 이 후보자는 "(횟수는) 이번에 알았다"고 답했다.

그러자 송 의원은 "(일반적으로) 단 한 번이라도 그런 게 걸리면 오랫동안 기억한다. (특히) 공무원들은 인사상 흠결로도 작용한다"며 "국정원을 이끄는 수장의 후보자가 수십 차례의 위반이 적발됐는데 그걸 기억하지 못하고 이번에 알게 됐다고 하는 건 뻔뻔하고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죄송하다"고 사과를 하고 "저는 횟수에 대해 이번에 알았다는 것이지 과태료 (부과를) 몰랐다는 게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후로도 송 의원은 이 후보자가 2010년에 '천안함 피격에 대해 우리 사회가 잘못 느끼고 있다', 2016년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DD·사드) 배치를 철회해야 한다'란 취지의 주장을 했다며 과거에 이 같은 발언을 한 게 맞는지 물었다.

이 후보자가 "기억나지 않는다"거나 "그렇게 주장했을 거라고 생각된다"고 애매하게 답하자, 송 의원은 "조금 불리한 부분에 대해선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는데, 대한민국 정보를 총괄하는 국정원장 후보자로서 그런 것도 기억 못 한다고 하면 자격이 되느냐"고 따졌다.

그러면서 "이런 (과거 발언이) 쌓이고 쌓이다 보면 평가가 된다"며 "국민은 후보자가 굉장히 친북적이라거나 국정원이 대한민국을 지키는 기관으로 기능할지, 아니면 북한의 대남연락사무소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 전락할지 걱정하게 된다"고 공격했다.

여당은 즉각 반발했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원장 후보자를 대남연락소장으로 지칭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수괴보호연락소장이냐고 부르면 좋은가"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대공수사권 이관 논란에 관한 입장도 내놨다.

그는 "대공 수사권은 3년간 (국정원에서 경찰로) 이관하는 기간을 거쳤다. 다만 아직 정착이 안 된 부분이 있어 정착시키는 데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대공 수사권을 다시 국정원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주장에 선을 그었다.

과거 문재인 정부 당시 국정원법 전면 개정으로 국정원의 대공 수사권은 지난해 1월 경찰로 이관된 바 있다. 국정원에는 조사권만 남아 대공 수사가 약화했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돼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