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TEM Bank’ 통해 개별 학교 지원 강화

학교 현장에서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구 등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서울교육청이 관련 교구 공유 플랫폼을 구축한다.
18일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수학·과학·융합교육(STEM) 지원 강화를 위한 ‘수학·과학·융합교육 교구 공유 은행(K-STEM Bank)’을 발족하고 20일 본청에서 현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형 수학·과학·융합교육(K-STEM)’을 통해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키우고 이공계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과학 디지털 센서, AI·SW 디지털 교구 등 현장의 교구 수요가 늘고 있지만 개별 학교가 고가의 교구를 모두 갖추기 어렵고 STEM 교구와 첨단 기자재 대여 기능이 각 기관별로 분산돼 있어 학교에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보유 교구를 공동 활용하고 첨단 기자재 체험을 지원하는 종합 플랫폼 기능을 갖춘 K-STEM Bank를 설립, 학교 현장을 지원하고 교육 예산을 효율화한다는 계획이다.
교구 공유 은행은 본청이 중앙은행 기능을 맡고 융합과학교육원에 ‘과학 첨단기자재 공유 은행’, 교육연구정보원에 ‘AI·SW교육 교구 공유 은행’, 각 교육지원청에 ‘수학·과학 교구 공유 은행’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각 교육지원청 과학교육센터와 수학과학융합교육센터에는 학교 대여 및 방문 체험용 교구를 우선 구비하고, 내년에는 K-STEM Bank 온라인 대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교구 및 첨단 기자재를 연차적으로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국가 연구시설·장비종합포털(ZEUS)을 활용해 유휴 연구 장비를 교육 목적으로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각 학교는 과학교구의 경우 11개 과학교육센터 및 18개 과학중점학교 개방형 실험실에서, 수학교구는 4개 수학과학융합교육센터에서, AI·SW 교구는 교육연구정보원에서 대여하거나 방문 체험할 수 있다. 과학중점학교, 융합과학교육원, 영재학교·과학고 등에서는 첨단 기자재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인근 지역 교원과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K-STEM Bank가 학교와 교육청이 협력해 학생 탐구 활동을 지원하는 ‘미래를 여는 협력 교육’의 새로운 모델이 되기를 바란다”며 “STEM 및 AI 교구 지원을 통해 학교 간 교육 여건 차이로 인한 교육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학생에게 공평하고 수준 높은 STEM 교육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