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난해 올린 소득과 총자산이 공개됐다. 오픈AI를 이끄는 샘 올트먼의 월드 프로젝트가 유에스디코인(USDC)을 출시했다. 베트남 정부가 디지털 자산과 관련된 법안을 신설했다는 소식과 코인베이스 등 일부 거래소가 유럽연합(EU)에서 라이선스를 받을 것이라는 보도도 글로벌 코인마켓에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14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정부윤리청(O.G.E)의 연례 재산공개 보고서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2024년 한 해 동안 총 6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총자산을 자체 계산으로 최소 16억 달러(약 2조1900억 원)로 추산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운영하는 트럼프 미디어앤드테크놀로지 그룹(TMTG) 지분 가치는 별도로 57억 달러(7조7700억 원)로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부동산에서 총 2억1770만 달러(297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해외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에서도 활발한 수익 활동을 벌인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에서 500만 달러, 인도에서 1000만 달러, 두바이에서 1600만 달러의 수수료를 벌었다.
장남과 차남이 운영하는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에서만 약 5735만 달러(784억 원)의 수익이 발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플랫폼에서 157억5000만 개의 거버넌스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가상자산 가치는 약 4억3000만 달러(5900억 원)로 추정된다.
이번 보고서에 공개된 수입은 2024년 기준이며, 올해 1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전 출시한 밈 코인 '$TRUMP'의 수익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의 밈 코인은 이해충돌 가능성 논란이 불거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밈 코인을 통해 자신의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면서 동시에 관련 규제 정책을 추진할 수 있어서다.
이 밖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자산관리회사 블루 아울 캐피털과 찰스 슈왑이 관리하는 국채펀드, 자산운용사 인베스코 등에 대한 투자로 벌어들인 이자 및 배당금을 포함한 소득은 최소 1200만 달러(약 164억 원)로 추산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번 신고서를 통해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가 연설료 등을 통해 벌어들인 수입도 공개됐다. 멜라니아 여사는 지난해 7월 미국 뉴욕 행사 연설과 자신의 NFT 판매를 통해 60만 달러가량의 수입을 올렸다.
월드 관계자는 "앱 사용자 약 200만 명이 이미 월드 앱 지갑에 브리지 USDC를 보유하고 있었다"며 "이제 서클에서 직접 발행하는 네이티브 USDC로 업그레이드 됐다"며 "월드는 160개국 이상에서 27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독보적인 글로벌 플랫폼"이라고 전했다.
서클은 월드 블록체인에서 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CCTP V2)을 활성화해 USDC 전송을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최근 월드는 애틀랜타, 오스틴, 로스앤젤레스, 마이애미, 내슈빌, 샌프란시스코 등 미국 6개 도시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사용자는 홍채 스캔을 통해 월드 ID를 등록하고 WLD 토큰을 받을 수 있다.
베트남이 디지털 자산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인공지능(AI), 반도체, 디지털 인프라 관련 산업에 대한 혜택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 산업 법안을 통과시켰다.
베트남 의회는 '디지털 기술 산업 법안'을 승인하며 암호화된 자산을 규제 체계 안에 포함했다. 이 법안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가상사잔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국가적 디지털 혁신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 법안은 디지털 자산을 △가상자산 △암호화된 자산 두 가지로 분류한다. 두 자산 모두 암호화나 디지털 기술을 통해 검증 및 전송되지만 증권, 디지털 통화, 기타 금융 상품은 포함되지 않는다.
베트남 정부는 앞으로 이러한 자산 유형에 대한 세부적인 사업 조건, 분류 및 감독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사이버 보안 및 자금세탁 방지 조치도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마련된다. 이는 2023년부터 베트남이 국제 금융범죄 방지기구(FATF)의 '그레이 리스트'에 오른 점을 반영한 조치로 보인다.
로이터는 올해 초 발효된 EU 지역 가상자산 규제법 미카(MiCA)의 신규 규정에 따라, 라이선스 취득 기업은 27개 EU 국가 전역에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며 "제미니는 몰타, 코인베이스는 룩셈부르크에서 EU 첫 라이선스를 취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다만 국가별 규제 승인 속도와 기준을 놓고 규제 기관 간 갈등도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