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치매환자 124만명·평균자산 2억원

65세 이상 고령 치매환자 자산이 국내총생산(GDP) 6%가 넘는 154조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50년엔 50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자산 도용·사기 예방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 실시한 '고령 치매환자 자산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최초로 시행된 정부 차원의 '치매 머니' 전수조사다.
조사 결과 2023년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환자는 총 124만398명으로 자산 보유자는 이 중 61.6%인 76만4689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보유 자산은 153조516억 원으로 GDP의 6.4% 수준이었으며 1인당 평균 자산은 2억여 원이다. 고령 치매환자가 전체 인구의 2.4%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인구 대비 이들의 자산 비중은 매우 높은 편이다.
고령 치매환자 자산을 소득과 재산으로 구분하면 소득 총액은 6조3779억 원, 재산총액은 147조1637억 원으로 이들의 재산 대부분은 재산인 셈이다. 비중이 가장 큰 자산은 부동산으로 113조7959억 원이었고 금융재산 33조3561억 원, 그 외 재산 117억 원 순이었다.
소득 중 근로소득은 1조4758억 원, 사업소득은 1조4348억 원, 금융소득은 8508억 원, 기타소득은 2조6165억 원 순이었다.
향후 치매환자는 2030년 178만7000명, 2024년 285만1000명, 2050년 396만7000명 등으로 가파르게 늘 것으로 전망됐다. 치매환자 증가에 발맞춰 '치매 머니'도 2050년엔 예상 GDP의 15.6% 수준인 488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저고사위는 치매로 인한 자산 동결, 타인에 의한 자산 도용·사기 등이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조사를 토대로 관련 연구용역 진행 후 민간신탁 제도개선 방안, 치매공공후견 확대 방안, 공공신탁제도 도입 방안 등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형환 저고사위 부위원장은 "고령 치매환자는 자기 자산을 스스로 관리하지 못해 가족이나 제3자에 의한 무단 사용 또는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치매환자 자산이 동결되면 투자 및 소비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가 붕괴될 수 있다"며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한 후 '치매 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해 연말에 발표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