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이주호 첫 출근길 "국회와 충분히 소통, 안정적 국정운영 최선"
2일 0시부로 이주호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사상 초유
MB정부 이어 윤석열 정부서도 교육부 장관…굵직한 정책 다뤄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안정적으로 국정 운영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 달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 선거의 공정성도 강조했다. 이 권한대행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물러나면서 이날 0시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교육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된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다.

이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첫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무거운 책무를 맡게 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를 묻는 기자들 질문엔 “대선을 한 달 앞둔 기간이기 때문에 공정한 선거 준비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사상 초유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행의 대행이 된 데 대해서는 "국정은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권한대행은 외교·통상·안보가 제대로 운영될 수 있을지 묻는 말에 대해서는 "국회와 충분히 소통하고 국무위원들과 잘 논의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면서 그동안 집중해왔던 의대교육 정상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의대생들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며 "학사 정상화를 진행하고, 여러 난제가 짧은 기간이지만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사임 의사를 밝히며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이 될 예정이었으나, 최 부총리는 이날 밤 국회 본회의에서 자신에 대한 탄핵 소추안 상정 절차가 시작되자 사의를 표명했다.

한 대행이 최 부총리의 사직을 재가하며 이 부총리가 2일 0시부터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국무위원 승계 순서는 정부조직법에 따라 기획재정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통일부 등이다. 이 권한대행은 6·3 대선까지 33일간 국정을 책임지고 운영하게 된다.

그는 이명박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에서도 교육부 수장을 맡았으며, 윤석열 정부 첫해인 2022년 9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됐고 그해 11월 취임하며 10년 만에 같은 자리로 '복귀'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기 위해 소집한 국무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경제학자 출신인 그는 교육 정책 전문가로도 평가된다. 서울대 무역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코넬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 권한대행은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연구위원, 교수, 교육개혁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동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재직할 당시에는 학업성취도 평가, 입학사정관제 등 대입 자율화, 자율고·마이스터고 등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 교원평가 등 MB표 교육정책의 밑그림을 그리고 주도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후에는 KDI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글로벌교육재정위원회 위원,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연구위원, 사단법인 아시아교육협회 초대 이사장 등을 지냈다.

한편, 이 대행은 최근 의정갈등이 1년 넘게 이어지자 의대 정원을 2024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결정했다. 또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을 핵심 정책 중 하나로 추진하며, 올해부터 일부 학년·과목에 올해부터 실제 AIDT가 도입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