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미만 '선천성 기형' 환자 급증

4년간 연평균 3% 증가

6세 미만 선천성 기형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최근 4년간(2005~2008) 6세 미만 소아의 선천성 기형 환자를 분석한 결과 실환자수는 2005년 5만9782명에서 2008년 6만5176명으로 연평균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아(男兒)는 3만4686명에서 3만8005명으로 연평균 3.2%, 여아(女兒)는 2만5096명에서 2만7171명으로 연평균 2.8% 증가했다.

▲성별 선천성 기형 실환자수

특히 신경계통의 선천성 기형은 2005년 893명에서 2008년 1376명으로 연평균 15.5% 증가했으며, 생식기관의 선천성 기형은 2005년 4321명에서 2008년 5618명으로 연평균 9.3% 증가했다.

4년간의 진료비 추이를 보면 2005년 271억원에서 2008년 373억원으로 연평균 11.5% 증가했으며, 남아는 2005년 155억에서 2008년 208억으로 연평균 10.6%, 여아는 2005년 116억에서 2008년 165억원으로 연평균 12.7% 각각 증가했다.

이에 대해 공단 관계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2006년의 6세 미만 소아의 입원 본인부담 면제와 2007년의 외래 본인부담 경감 등 소아에 대한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의료이용 접근성이 높아진 것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이러한 의료이용 접근성 향상은 저소득계층에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같은 기간 동안 소득 계층에 따른 내원일수를 보면 상위 20%는 연평균 4.6% 증가했는데 비해 하위 20%는 연평균 17.6%나 증가했다.

질환별로도 염색체 이상 및 신경계통의 선천성 기형 등 모든 질환에서 소득 하위 20%가 상위 20%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공단 관계자는 “앞으로도 선천성 기형 질환에 대한 조기검진과 치료확대를 위한 정책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