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한-EU FTA 합의점 도달"

입력 2009-07-13 09:30수정 2009-07-13 09: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스웨덴 총리와 협상 종결 선언할 수 있을 것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이 합의점에 도달하게 됐다"고 천명했다.

G8 확대정상회의에 초청을 받아 유럽연합(EU)을 순방중인 이 대통령은 이날 제19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이번 EU 순방 목적은 여러 정상들과 만나서 한-EU FTA에 대한 최종합의를 도출하는 데 큰 목적이 있다"며 "EU 의장국인 스웨덴 총리와 정상회담을 통해서 합의내용을 확인하고 협상의 종결을 선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은 "한-EU FTA가 되면 유럽의 27개국과 협상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 온 어떤 FTA보다도 우리 무역에 획기적인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세계적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공조가 필요한 시대에 우리가 역할을 많이 했고,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도 모범이 되고 있다"고 국제사회에서의 우리 역할과 비중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어 "무역에 관해서는 우리가 그동안 줄기차게 보호무역주의를 반대해 왔기 때문에 G8 의장국인 이태리의 베룰루스코니 수상이 우리에게 먼저 선도발언을 해 줄 것을 요구했다"며 "보호무역을 차단하고 국제무역을 활성화하는 길 만이 당면한 경제위기 극복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이를 위해 정상들이 직접 나서주실 것을 주장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파스칼 라미 WTO 사무총장과 바로소 EU 집행위원장의 전폭적인 지지가 이어졌고, 우리의 주장이 합의문에 채택됐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은 기후변화문제에 있어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며 "지금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정부차원에서 가장 선제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과제로 시행하고 있고, 이것을 세계 모든 나라들이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제 우리 기업과 국민들도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서 책임을 가지고 대비를 더 구체적으로 해야 할 때가 됐다. 기업들도 선제적으로 대비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시대가 왔다"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 국민들도 교통을 비롯하여 의식주와 소비에 이르기까지 생활 양식의 전반을 저탄소형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 이것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가야만 하는 길"이라며 "귀국하면 우리나라의 202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금년 연말까지 설정하기 위해서 본격적인 여론 수렴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대통령은 "내년 한국이 G20 의장국이 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위상을 더 높일 기회가 왔다. 지난 1년여 사이에 국제사회에서 우리에 대한 신뢰가 놀라울 정도로 높아졌다"며 "대한민국의 국격을 더 한 단계 높이고 국익에 큰 도움이 되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야겠다.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