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 찾아 없앤다!…무인 예찰 포획트랩 개발

입력 2024-10-0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농촌진흥청)

AI 기술로 영상 분석…나방·노린재류 종류 및 포획량 판별
대체 시 연간 노동시간 200시간·비용 1077만 원 절감 효과

인공지능(AI)을 통해 해충을 찾아내고, 판별된 해충을 없애주는 무인 예찰 포획장치가 개발됐다.

기존 수동 장치 방식을 무인 예찰 포획장치로 대체하면 연간 노동시간과 비용이 각각 200시간, 1077만 원 절감될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군산대학교, BNS코퍼레이션과의 공동연구로 노지 밭작물 해충을 유인해 발생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무인 예찰 포획 장치(AI 트랩)'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해충 피해를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약제 사용을 방지하려면 신속한 예찰과 처방이 필요하다. 아직 인력에 의존해 해충 발생을 확인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예찰 체계 자동화가 시급하다.

이를 위해 개발된 AI 트랩은 성 유인 물질(성페로몬)로 해충을 유인, 포획해 확보한 영상(이미지)을 AI가 인식해 해충 종류와 마릿수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포획 장치 안에 부착된 환경 감지기(센서)는 온도, 습도, 풍향, 풍속, 조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해충 유입 방향도 추적할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한 정보(데이터)는 별도의 포획 장치 관제시스템에서 확인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유인구 구조를 변경하고 유인 물질(페로몬) 종류를 바꾸면 나방류, 노린재류 등 종류가 다른 해충을 유인할 수 있는 것도 AI 트랩의 장점이다.

영상을 수집한 후에는 자동으로 해충을 분쇄, 배출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 없다.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해 해충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약제 및 전기충격 장치도 내장돼 있다.

농진청은 "지난 2년간 현장 검증한 결과 무인 예찰 포획 장치의 정상 영상 수신 및 포획량 판별 정확도는 90% 이상으로 높았다"며 "이는 기존 포획 장치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는 콩에 해를 입히는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 3종을 예방 관찰할 수 있다"며 "추후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포획 장치 관제시스템과 연계해 방제 시기를 알려주는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AI 트랩이 기존 수동 장치 방식을 대체하면 노동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농진청은 "조사 지점당 연간 약 200시간의 노동시간 절감과 1077만 원(5년 기준으로 약 5300만 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조기 예찰로 적기에 해충을 방제함으로써 농작물 피해를 줄여 식량 안보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