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교부금 폐해 더 커지기 전에 수술해야

입력 2024-09-09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방교육재정교부금(교육교부금)이 앞으로 4년간 20조 원가량 불어날 전망이다. 어제 기획재정부의 ‘2024∼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교육교부금은 올해 68조8732억 원에서 2028년 88조6871억 원으로 19조8139억 원(28.8%) 증가한다. 교부금이 불어나는 것은 초중고 교육을 담당하는 17개 시도교육청이 국세의 20.79%를 자동 배정받기 때문이다. 교육세 일부도 기계적으로 추가된다. 국가 경제가 망가지지 않는 한 내국세는 자연스럽게 늘어나니 교부금 규모도 날로 커질 수밖에 없다. 2015년 39조 원에서 지난해 75조8000억 원까지 늘었다.

교부금이 적절히 쓰일 곳만 있다면 교육 곳간이 풍성해지는 것은 별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핵심 수요인 학령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돈은 주체할 수 없이 모이는데 정작 돈 쓸 곳은 없는 것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중위 추계) 기준 초·중·고 학령인구는 올해 524만8000명에서 2028년 456만2000명으로 68만6000명 줄어든다. 학생 1인당 교부금은 같은 기간 1310만 원에서 1940만 원으로 630만 원(48.1%) 증가하게 된다.

필연적 귀결은 예산 왜곡과 낭비다. 지난해 감사원의 교육교부금 제도 운영실태 감사결과에 따르면 각 교육청은 국민 혈세를 흥청망청 쓰기 일쑤였다. 입학 지원, 교육회복 지원 등 명목으로 1600억 원이 넘는 현금을 살포하는가 하면 교원이 아닌 행정직 공무원 노트북 지원을 위해 수십억 원을 쓴 곳도 있다. 교직원에게 출산 축하금을 주거나 무이자 대출을 해준 교육청도 있다. 초·중등 교육 균형 발전과 뭔 상관이 있는 지출인지 모를 일이다.

교육교부금 연동형 구조부터 뜯어고쳐야 한다. 저출생·고령화 추세에 맞게 교부금 비율을 손볼 필요가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적절히 심사해 교육청에 예산을 나눠주는 대안도 있다. 학교, 학급이 아닌 학생 수에 비중을 둬야 한다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제안도 눈여겨봐야 한다.

사용처를 넓히는 것도 방법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교육교부금이 국세 수입에서 차지하는 의무지출 비중은 올해 19.8%에서 2028년 20.5%까지 계속 증가한다. 인구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복지 수요에 그렇게 늘어나는 교부금을 활용하면 재정 효율화 측면에서도 숨통이 트일 수 있다. 유보통합, 늘봄학교, 대학 지원 등 국가적 관심이 필요하고 재정 투입이 시급한 분야는 수두룩하다.

학령인구 감소는 적어도 당분간은 피할 수 없는 국가적 현실이다. 올해 1학년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가 전국 150여 개에 달했다. 갈수록 많아질 것이다. 교육교부금 방만 재정의 폐해 또한 더 크게 불거질 수밖에 없다. 교육청은 현행 구조를 기득권으로 여겨선 안 된다. 지난 6월 나온 KDI ‘인구 축소 사회에 적합한 초중고 교육 행정·재정 개편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각 교육청이 다 못 써서 남기거나 다음 연도로 넘긴 예산이 2022년 7조5000억 원에 이른다. 언제까지 용인될 수 있겠나. 정부와 정치권이 지자체, 교육청 등과 협력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