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인터넷 음란물 '여과장치' 없나

입력 2009-07-01 16: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실 요즘 강남 유흥업소가 너무 힘들어요. 그래서 손님좀 끌어모으려고 강남음란 클럽 홈페이지에 '가면쓰고 실제 성행위, 스와핑도 가능하다'는 글을 제가 허위로 올렸어요. 확인해보시면 모든 게시물 IP가 동일하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거에요."

경기가 좋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강남의 클럽거리, 업주들의 살아남기 위한 발버둥이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최근 서울 강남에 공개적으로 성관계를 가질 수 있는 '신종 음란클럽'이 인터넷에 소개된 사실이 언론에 보도돼 파장을 일으켰지만 모든 사실이 한 강남클럽 사장에 의해 조작된 정보라는 것이 드러나 해프닝으로 끝나버렸다.

실제로 게시판에 올라간 허위내용은 민망한 경험담들이 대부분, 클럽 관련 정보는 블로그, 카페, 지식인 검색 등을 통해 일파만파로 퍼졌고 한 동안 클럽 홈페이지 접속이 폭주해 서버가 다운되는 사태도 벌어졌다.

이 어처구니 없는 사건은 다행히 경찰 단속으로 일단락 됐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나친 '관음증', 비성숙한 '성문화', 걸러지지 않은 인터넷상 허위 정보의 '신속한 확산'에 대한 무방비 정책 등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다.

특히 이번 사건과 같이 언론매체의 인터넷 상에서 돌아다니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활용하는 행태도 짚어봐야 할 문제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언론에 보도돼 그것이 오히려 사회적 파장을 확대시킨 결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불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조장,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네티즌들은 엄청난 양의 음란 폭력 허위정보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돼 있다. 하지만 개인의 활동범위가 무한정 확장되고 정보 전파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는 인터넷 환경을 법적으로 제제하기에는 아직도 그 기준점이 모호하다.

특히 이미 인터넷상에 퍼진 정보에 대해서는 주워담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제보다는 오히려 성숙한 인터넷 문화형성을 위한 윤리교육이 선행돼야 한다는 견해도 높다.

"급히 먹는 밥이 목에 걸린다"는 말이 있다. 급하게 서두르다 보면 낭패보기 쉽다는 뜻이다.

정부는 즉각적인 효력이 보이지는 않지만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 즉 네티즌이 갖춰야 올바른 인터넷 사용문화에 대한 윤리교육을 위해 고민해야 하고, 온라인 언론매체는 속보도 중요하지만 정확성에 근거한 사실 확인에 좀 더 시간을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