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보다 더운 오늘, ‘온열질환’ 주의보 [e건강~쏙]

입력 2024-06-20 11:00수정 2024-06-20 17: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박성준 고려대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어린이나 고령자, 야외근로자, 고혈압, 심장병이나 당뇨, 뇌졸중 등의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해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사진제공=고려대구로병원)

한 낯 기온이 섭씨 35도까지 오르며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늘 낮 최고기온은 전국적으로 25℃에서 35℃까지 오를 것으로 예보됐다. 전날에도 최고 체감온도가 33도 내외로 오르는 서울을 포함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기상청은 폭염특보를 확대 발효했다.

폭염에 체감온도 30도 넘어…온열질환자 증가세

갑자기 더워진 날씨로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발생률도 높아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지난달 20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보면 5월 20일부터 6월 9일까지 3주간 72명의 국내 온열질환 환자가 발생했고,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1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4명과 비교해 33.3% 증가한 수치다.

국내 여름철 온열질환 환자 수와 사망자 수는 물론, 전체 온열질환 진료인원도 증가세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 최근 5년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환자 수는 1000명 이상을 넘기며 증가하고 있다. 집계를 보면 2019년 온열질환 환자 수 1841명, 사망자 11명, 2020년 환자 수 1078명, 사망자 9명이었다. 2021년엔 환자 1376명에 사망자 20명, 2022년 환자 1564명에 사망자 9명이었으나 지난해 온열질환 환자 2818명에 사망자는 32명으로 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국내 온열질환 진료인원(입원·외래)은 2020년 1만4557명에서 2021년 1만3651명으로 소폭 줄었다가 2022년 1만5638명으로 증가했다.

▲연도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2011~2023년) (자료=질병관리청)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 유발할 수 있는 온열질환

따라서 전문가들은 6월 중순부터 시작된 무더위로 전년보다 온열질환 환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무더운 날씨에 따른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리 몸은 뇌의 시상하부에 의해 체온을 조절하고 유지하고 있지만, 높은 온도에 장기간 노출되거나 혹은 격렬한 활동을 하는 경우, 체온 조절에 실패하여 매스꺼움, 구토, 두통, 무기력, 어지러움, 근육경련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야기한다. 또한 심한 경우 섬망, 운동 실조, 발작, 의식저하, 응고장애, 다장기 부전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름철, 뜨거운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을 온열질환이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온열질환(열 및 빛의 영향, T67)으로 진료를 본 환자는 21,325명으로, 2021년도 13,651명 대비 56%가량 증가했다.

온열질환의 종류로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이 있다. 이중 열사병과 열탈진의 경우는 방치할 경우 생명까지 위태로울 수 있다. 박성준 고려대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어린이나 고령자, 야외근로자, 고혈압, 심장병이나 당뇨, 뇌졸중 등의 만성질환자는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해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증상발생 시 무엇보다 초기 대응 중요

열사병은 체온을 조절하는 중추신경이 외부의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한 상태다. 강하고 빠른 맥박에 심한 두통과 오한, 빈맥,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다발성장기손상 및 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고 치사율도 높아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환이다.

열사병은 체온을 조절하는 중추신경이 외부의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40도 이상의 고열과 의식 상태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긴급 상황이다. 온열질환 중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질환이다.

박 교수는 “열사병은 무엇보다 빠른 응급처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처법으로는 우선 구급차를 부르고, 응급시설이 잘 갖추어진 병원에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환자를 옮겨야 한다.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겨 옷을 느슨하게 하고, 환자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환자의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박성준 교수는 “만약 부채나 선풍기 등이 없는 경우, 젖은 수건이나 시트로 환자의 몸을 덮어 주거나 얼음을 환자의 목주변, 겨드랑이, 허벅다리 안쪽 등에 놓아서 체온을 떨어트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만약 협조가 되는 경우 수분 공급을 위해 물 혹은 스포츠 음료 섭취를 시도해 볼 수 있으나, 협조가 되지 않는 경우 무리하게 수분을 섭취하게 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그 밖에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해 발생하는 열탈진과 열경련의 경우 시원한 곳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소금 정제 등을 통한 염분의 공급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근육경련이 오는 열경련의 경우 경련이 일어난 부위에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열사병이 아닌 온열질환들도 증상이 1시간 넘게 지속되는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박성준 교수는 “여름철에는 폭염특보가 발효할 수 있으니 야외 활동을 앞둔 경우 일기예보에 관심을 두는 것이 좋다”며 “야외활동 시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고, 꽉 끼지 않는 편안한 복장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박 교수는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돼 쓰러진 경우 의식이 있다면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며 충분한 수분섭취와 회복 경과를 관찰하고,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열사병으로 의심될 소지가 있으므로 최대한 빠르게 응급실로 내원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