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與 전대…'어대한' 갈등에 흥행 우려도

입력 2024-06-19 16: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제13차 전국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차기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본 궤도에 올랐다.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민심 20%'를 반영하는 당헌·당규 개정을 마쳤고, 후보자 등록과 선거운동 기간 등 주요 일정도 정해졌다. 다만 유력 주자로 거론되는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견제 목소리가 커지면서 불거진 갈등으로 전당대회 시작부터 '흥행하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은 19일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열어 '당 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당원 투표 80%,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 반영'이 골자인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지난해 3·8 전당대회 당시 만든 '당원 투표 100%' 규정은 1년여 만에 수정됐다.

앞서 당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자 등록(6월 24~25일) △공식 선거기간(6월 26일~7월 23일) △케이보팅(K-voting) 투표(7월 19~20일) △ARS 투표(7월 21~22일) 일정과 5개 권역(호남, 부산·경남, 충청·강원, 수도권) 후보자 합동연설회 개최 방침도 밝혔다.

당권 주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여권 상황을 종합하면, 한 전 위원장은 이르면 이번 주중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할 전망이다. 나경원 의원은 이르면 20일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윤상현 의원도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17일 당 대표 경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한 전 위원장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장동혁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선언 시점은) 결국 주말이나 내주 초가 될 것"이라며 "장소도 고민 중에 있다"고 했다.

이어 "(출마 선언문에는) 한 전 위원장을 공격하는 부분에 대해 어느 정도 대답을 담아야 하고, 당을 앞으로 어떻게 바꿔 갈지, 우려하는 부분은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한 답변도 조금씩 담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당권 주자들은 일제히 견제하는 모습이다. 당권 주자를 제외한 친윤계(친 윤석열)에서도 한 전 위원장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른바 '어대한'(어차피 당 대표는 한동훈) 기류 단속에 나선 셈이다.

나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원외 당 대표 장점도 있을 수 있지만, 지금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원내에 있다"는 말과 함께 "전장의 중심이 국회인 만큼 원외 대표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사실상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윤 의원도 1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우리 당은 대선 1년 6개월 전부터 당권·대권 분리하도록 돼 있는데 이번에 뽑는 당 대표 임기는 2026년 지방선거 직후까지여서 묻는다. 2027년 대통령 선거에는 나가지 않고 임기를 채울 생각인가"라며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해 질문했다.

'어대한' 견제가 거세지면서, 당 내부에서는 흥행하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제22대 총선 참패 이후 치르는 전당대회에서 향후 야당 대응 전략이나 재집권 비전 등을 두고 경쟁하는 게 아니라, 특정 인물 견제에 집중한 데 따른 우려다.

수도권 지역 한 당협위원장은 이날 오후 본지와 통화에서 "패배주의를 극복하고 집권여당으로서, 정책 정당으로 자리매김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전당대회가 대한민국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통합의 장이 돼야 한다"며 "당권에 도전하는 사람이 많아 (흥행했으면 한다)"고 했다.

나 의원도 한 전 위원장에 대한 견제와 별개로 같은 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우리 당은 스스로 친윤, 비윤, 반윤 또는 친한과 반한, 이런 것들과 과감히 결별했으면 한다"며 "(이러한 갈등이) 보수 재집권을 어렵게 할 것이고, 우리 당원과 국민께 실망만 드릴 뿐"이라고 입장을 올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