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아빠 재테크]대신증권, 금리 변동성 대비해 우량채권 담은 펀드 추천

입력 2024-06-19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신343 우량채권’ 관련 이미지 (사진=대신증권)

대신증권은 포트폴리오의 60% 이상을 국내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대신343 우량채권’을 판매하고 있다.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채권투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적합한 상품이라는 설명이다.

‘대신343 우량채권’은 잔존만기 5년 이하의 국채·통안채·공사채·금융채 등 주로 국내 우량채권(A- 등급 이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대외경제지표 및 통화정책 등의 시장 상황에 따라 가중평균만기(듀레이션)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듀레이션을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회사채와 기업어음(CP) 등은 가능한 만기 보유하는 전략을 활용한다. 사다리형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안정성과 유동성을 확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채 비중을 장기채보다 높게 설정하는 바벨 전략을 추구한다.

유동성 위험을 줄이는 차원에서 자금 유출입을 고려해 환금성이 높은 국고채와 통안채, 은행채 등을 일정 비율 편입했다. 레포 전략으로 유동성 자산 등을 활용해 유동성 위험을 최소화했다. 신용리스크 관리를 위해 채권은 A- 등급 이상, CP나 단기사채는 A2- 등급 이상 우량 자산에 투자하고, 금융 대기업 우량회사채 등 업종별 분산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대신343우량채권’은 설정 3년 후 실제 수익률 변동성을 기준으로 위험등급을 구분한 결과 실제 연 환산 표준편차는 0.58%였다. 이에 따라 투자위험 6등급 중 5등급에 해당하는 낮은 위험 수준의 투자위험을 지니고 있다.

다만 낮은 수준의 위험등급인 경우에도 시장 이자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거나 신용등급 하락 시 채권 가격이 내려가 원금손실의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김동국 대신증권 상품솔루션부장은 “인플레이션 우려로 증시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채권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우량 채권에 투자하는 채권형 펀드는 필수 상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