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C커머스 빅3 ‘41%’ 급성장…“개인정보 유출 막아야”

입력 2024-06-17 06:00수정 2024-06-17 14: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글로벌 빅5 중 2~4위는 중국 기업
작년 對중국 플랫폼 구매 121% 급증

중국의 국내유통시장 장악 우려…
유통규제 개선 등 대응방안 마련해야

▲글로벌 및 중국 e커머스 규모. (사진제공=한국경제인협회)

중국 C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유통업계 진출 확대로 우리나라의 해외전자상거래 적자 폭이 확대되고 있다. C커머스 기업은 필요 시 취득 정보를 중국 정부에 제공할 수도 있어 정보 유출 방지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최근 5년간(2018~2023년) 글로벌 e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9000억 달러에서 2023년 5조8000억 달러로 5년 만에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5년간(2018~2023년) e커머스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14.6%)은 전체 소매업 성장률(4.4%)의 3.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징동닷컴(중국 내수 중심), 알리바바, 핀둬둬(테무 모기업) 등 C커머스 빅3사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성장률(CAGR) 평균은 연 41.0%로 글로벌 e커머스 시장 성장률(14.6%)보다 2.8배 높았다.

지난해 글로벌 e커머스 회사들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 아마존(미국), 2위 징동닷컴(중국), 3위 알리바바(중국), 4위 핀둬둬(중국), 5위 쿠팡(대한민국) 순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e커머스 5대 기업 중 3개를 중국이 차지했다.

C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이 확대되면서, 국내 e커머스 시장도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e커머스 시장은 역대 최고치인 228조9000억 원으로 중국(3954조2000억 원), 미국(1521조6000억 원), 영국(256조3000억 원), 일본(252조9000억 원)에 이어 세계 5위다. 2022년 기준 e커머스 침투율은 세계 3위 수준인 33.7%로 미국(15.0%), 일본(12.9%)을 크게 상회했다.

작년 한국의 C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3조3000억 원(전년 대비 121.2% 증가)으로 미국(1조9000억 원)을 크게 웃돌았다.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줄곧 한국의 최대 e커머스 구매 국가였으나, 작년 중국에 처음으로 역전당했다.

▲국내 e커머스 규모 및 한국 해외 전자상거래 추이. (사진제공=한국경제인협회)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는 2021년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를 앞질러, 적자 전환했으며 지난해에는 적자 폭이 5조1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e커머스 플랫폼 순위(월간 사용자 수 기준)를 살펴보면, C커머스 플랫폼들은 2023년 이후 불과 1년 6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11번가, G마켓 등 한국의 주요 플랫폼들을 추월했다.

지난해 1월의 국내 e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쿠팡 1위, 11번가 2위, G마켓 3위, 티몬 4위, 알리익스프레스 5위로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으나, 지난달에는 쿠팡 1위, 알리익스프레스 2위, 11번가 3위, 테무 4위, G마켓 5위로 중국기업에게 2위와 4위 자리를 내줬다. 특히, 작년 7월에 한국에 진출한 이후 1년도 되지 않아 4위로 올라선 테무는 3위와의 격차도 크지 않아 급성장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C커머스의 국내 유통시장 장악 대응방안으로 △규제중심의 유통정책 개선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ㆍ제조사 지원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성원 한경협 산업혁신팀장은 “국내 유통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 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위해(危害) 식의약품, 가짜 상품, 청소년 유해 매체,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온라인플랫폼의 소비자보호의무 이행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