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1인분 2만 원?…"고깃값은 3500원인데…"

입력 2024-06-15 0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돈 "인건비·임대료·전기료 등 비용 상승이 원인…오히려 가격 하락 우려"

▲한돈자조금 삼겹살데이 특판 행사. (사진제공=연합뉴스)

최근 대표 외식 메뉴인 삼겹살을 두고 1인분 가격이 2만 원을 넘어서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축산업계는 고기 가격이 아닌 제반 비용이 높아진 것이고 실제로 돼지고기 가격은 하락했다고 우려하고 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한 서울지역 5월 외식비 정보에 따르면 음식점 삼겹살 1인분(200g) 평균 가격은 2만83원으로 나타났다. 삼겹살 1인분 2만 원을 두고 고공행진 중인 외식 물가에 대한 공포감도 더욱 커졌다.

하지만 축산업계는 돼지고기 가격이 비싸다는 오해가 생길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외식비 정보에 반박해 삼겹살 외식비 가운데 실제 삼겹살 가격이 차지하는 비율은 17% 내외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위원회에 따르면 돼지고기 가격 17%를 제외한 83%는 기타 제반비용으로 인건비, 임대료, 전기료 등 각종 비용 상승이 삼겹살 1인분 가격에 포함되면서 외식비 상승으로 비춰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돼지고기 가격은 오히려 낮아졌다고 지적한다. 올해 5월 돼지고기 소비자가격은 100g당 2377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2원(9.9%) 떨어졌고, 도매가격도 kg당 5278원으로 역시 전년 동월 대비 9.9% 낮아졌다.

소비자물가지수에서도 돼지고기는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돼지고기 소비자물가지수는 올해 5월 115.96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9.71% 상승했다.

한돈자조금은 "삼겹살 외식비는 조사대상 39개 품목 중 31번째로 상승률이 낮은 품목에 해당한다"며 "'금겹살'과 같은 표현은 마치 돼지고기 가격 급등이 원인이 돼 삼겹살 외식비가 오른 것으로 소비자들의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이 여파로 소비 심리가 위축될까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가격은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봄부터 여름까지 상승하다 추석 이후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매년 반복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사룟값 등이 올라 농가 지출은 늘어 소비 위축은 농가도 위협한다고 우려한다.

손세희 한돈협회장은 올해 기자간담회'에서 "고금리·고물가로 돼지고기 소비는 줄었지만 사룟값은 올라 농가의 비용 지출은 늘었다"며 "채소, 인건비, 전기요금 등 기타 비용이 외식 돼지고기 가격에 반영돼 외식비가 올랐고, 식당 돼지고기 가격은 농가의 상황을 바로 반영하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