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교육 “한국어 교육 실크로드 열어”…카자흐 등 중앙아 첫 진출

입력 2024-06-13 14:27수정 2024-06-13 14: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베트남·싱가포르·미국 등 기 진출 국가 수출 계약도 잇따라

(사진제공=비상교육)

에듀테크 기업 비상교육의 한국어 교육 플랫폼 수출 계약이 올해 들어 잇따르고 있다. 중앙아시아에 처음 진출한 데 이어 베트남과 싱가포르, 미국 등 기존 진출 국가의 수출 계약도 속속 나오면서 글로벌 에듀테크를 꿈꾸는 비상교육의 포부가 실적으로 이어질지도 관심이 쏠린다.

비상교육은 13일 카자흐스탄의 에듀테크 업체 스터디테크와 한국어 교육 플랫폼 ‘마스터케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앙아시아 첫 진출이라는 성과로, 이번 계약에 따라 마스터케이 수출국은 13개국으로 늘어났다.

비상교육은 이번 계약으로 스터디테크 전용 마스터케이 플랫폼을 제공한다. 마스터케이는 화상 솔루션, e러닝, 학습관리 시스템(LMS), 인공지능(AI) 발음평가 등을 탑재한 플랫폼이다.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수업 환경에 적용 가능하며,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에듀테크 서비스 전반을 제공한다.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는 한국으로 송출되는 노동자가 많은 지역으로, 취업 비자를 받기 위한 한국어 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비상교육과 스터디테크 측은 마스터케이를 활용해 카자흐스탄 전역에 한국어 교육 사업을 확대하고, 인접 국가에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비상교육은 올해 들어 마스터케이 수출 낭보가 잇따르고 있다. 앞서 3월에는 싱가포르 대형 어학원 인링구아 싱가포르와 마스터케이 공급 계약을 맺었다.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이은 4번째 동남아 시장 공략이다.

한 달 뒤인 4월에는 베트남 꽝닌, 하노이, 껀더 지역에 있는 초·중·고등학교 공교육 현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비상교육은 베트남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베트남 내 총 7개의 초·중·고등학교 공교육 현장에 도입돼 총 427명의 학생이 수강하고 있다. 회사는 또 한국으로의 노동 송출을 희망하고 있는 베트남 근로자에 대한 특수 한국어 교육으로 서비스 영역을 더 확대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이밖에 독일의 후버 출판사와는 ‘비상 한국어’ 교재 판매 계약을, 미국 K-라우드 랭귀지 랩과는 마스터케이 플랫폼 수출 계약도 체결하면서 선진 교육 시장에서의 입지도 강화하고 있다. 독일은 라이프치히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마스터케이를 공급한 데 이어 교재까지 수출하게 됐고, 미국은 동부 뉴저지와 서부 LA에서 시작해 점차 미국 내 마스터케이 서비스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마스터케이 등 글로벌 사업이 포함된 기타 부문의 작년 매출은 47억 원으로 비상교육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이지만, 최근 수년 사이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국내 학령인구 감소 및 업계 출혈 경쟁 등으로 향후 지속성장을 장담하기 어려운 국내 여건상 해외 시장은 비상교육에 선점해야 할 먹거리로 꼽힌다.

비상교육 관계자는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첨단 AI 기술 등을 추가 탑재할 예정이고, 시장에 선보일 새로운 교육 플랫폼을 기반으로 K에듀 세계화의 전형을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