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리스크 관리' 비상…글로벌 전략ㆍ검색엔진ㆍAI 위기 신호

입력 2024-06-13 17: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네이버가 몸살을 앓고 있다. 라인야후 지분 매각 압박 사태로 일본과 동남아 사업에 리스크를 맞닥뜨린 가운데,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 심화로 본업 경쟁력 하락 우려가 나오고 내부 반발까지 이어지는 모습이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네이버의 주가는 16만8400원을 기록하며 52주 최저가를 경신했다. 이는 2021년 기록했던 최고가(45만4000원)의 3분의 1애 해당하는 셈이다. 증권가도 네이버 목표주가를 내려 잡고 있다.

네이버의 대내ㆍ외적 리스크가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개인정보 유출을 빌미로 한 일본 정부와 라인야후의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으로 네이버의 일본ㆍ동남아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라인야후가 산하 기업인 라인플러스에서 담당하는 동남아 등 일본 이외 해외 시장 사업을 네이버에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으면서다. 네이버가 라인야후 최대 주주인 A홀딩스 지분 협상을 통해 라인플러스의 동남아 사업을 분할해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관측에 라인야후가 선을 그은 것이다.

글로벌 생성형 AI 전쟁은 네이버의 검색 사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지난달 1~31일 국내 검색 점유율은 네이버가 56.65%로 1위를 차지했다. 구글(35.48%), 다음(3.64%) 등이 뒤를 이었다. 2015년 5월 77.3%에 육박했던 네이버의 점유율이 10년 만에 20%포인트(p) 넘게 하락한 것이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검색엔진에 생성형 AI를 탑재하며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빼앗아 가고 있다. 2015년 국내 검색 점유율 7.51%에 불과했던 구글은 10년 사이 다음을 제치고 2위에 올랐다. 챗GPT를 탑재한 마이크로소프트 빙의 점유율은 2015년 0.4%에서 올해 5월 2.81%로 7배 이상 늘어났다. 여기에 구글의 제미나이 탑재 검색 엔진, 오픈AI의 챗GPT 탑재 검색 엔진 출시 계획이 잇따르며 국내 검색 시장 1위를 차지하던 네이버의 입지가 좁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사내 분위기도 좋지 않다. 네이버 노조는 지난달 31일 라인야후 한국 법인 ‘라인플러스’ 등 국내 라인 계열사를 대상으로 고용 안정을 요구하는 교섭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날 네이버 노조의 반발은 이어졌다. 네이버가 직원들에게 불리한 내용을 미리 공유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는 이유에서다. 네이버는 최근 사내 공지에서 하반기부터 직원 대상 사옥 주차 비용을 일일 최대 1만 원에서 2만 원으로 올린다고 공지했다. 월 2회 사내 근무 원칙을 근거로 하는 직원당 해외 근무일수를 연간 최대 4주일에서 2주일로 줄인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한화투자증권 김소혜 연구원은 “커머스와 콘텐츠 사업의 밸류에이션 멀티플 하향 조정에 따라 네이버 목표주가를 25만원으로 내린다”며 “크게 하락한 주가는 커머스 사업 성장 둔화와 인공지능(AI) 수익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됐고, 단기적으로 추가 악재 발생 가능성도 제한적이지만 유의미한 주가 반등을 나타낼만한 모멘텀이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