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승계형 지도체제, 오히려 한동훈 대권 도전 부담 적어"

입력 2024-06-11 11: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당내에서 논의 중인 승계형 단일지도체제가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에 도움될 것이라는 취지의 입장을 냈다. 당 대표 공석 시 수석 최고위원이 대행하는 방식인 만큼 한 전 위원장의 대권 도전 시 지도부 공백 부담을 덜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황 위원장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를 가정해 "(당권을 잡은 상황에서) 대권에 도전하기 위해 사임한다면, 엄청난 정치적 부담을 느낄 것이다. 그런데 후계자가 있으면 나가도 당이 유지돼 부담이 적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를 견제하기 위해 승계형 단일지도체제 제안이 나온 게 아니냐는 정치권 일각의 판단에, 황 위원장이 사실상 해명한 것이다. 황 위원장은 승계형 단일지도체제 제안에 대해 '아이디어 차원'이라면서도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승계형 단일지도체제 도입 여부를 당내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에 맡긴 상황이라고 밝힌 황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년 동안) 당 대표는 6번, 사무총장은 7~8번 바뀌었다는데, 그러면 선거 준비를 못 한다. (현행 제도로는) 당 대표가 흔들리면 바로 전당대회를 할 수밖에 없다"며 관련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

그러면서 "(승계형 단일지도체제에서는) 두 분을 모셔서 한 분은 대표권, 한 분은 그냥 최고위원에 불과한데 (수석 최고위원은 당 대표) 승계권은 부여하는 것"이라며 "그렇게만 해놔도 (당이) 굉장히 안정될 것으로, 제가 오랜 당 생활의 경험에 따른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황 위원장은 주요 당권 주자가 승계형 단일지도체제 도입에 반대하는 상황이라는 사회자 질문에 "(당 대표) 승계가 한 분 만이라도 할 수 있게 하는 보완 제도"라며 "대권 주자들이 나온다고 하면 내년 9월에 사임해야 된다. 그러면 다시 4~6개월에 걸치는 비대위 체제가 다시 들어서고, 그다음에 지방선거를 어떻게 치를지 걱정이 있다"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