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기업, 엔화 약세에 비명...5월 도산, 11년 만에 첫 1000건대

입력 2024-06-10 17: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소기업, 전체 도산의 90% 차지
물가상승·인력난·정부 지원금 축소 등 악재

▲일본 수출용 자동차가 기와사키항에 도열해 있다. 엔화 약세로 일본 수출 기업들은 호황을 맞이하고 있다. 기와사키(일본)/AP뉴시스
엔화 약세로 호황을 맞이한 일본 대기업도 있으나, 대부분의 소기업은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역사적인 엔저와 물가 상승으로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러한 현상을 보도하면서 수익성이나 가격 전가력이 취약한 소기업 중심의 도산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시장조사기관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 5월 일본 전국 기업의 도산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 증가한 1009건으로 집계됐다. 약 11년 만에 처음으로 1000건대로 늘었다. 그중 종업원 10인 미만인 소기업이 90%를 차지했다.

▲일본 전국 기업 도산 건수. 2024년 5월이 1000 건을 넘으면서 가장 많다. 출처 닛케이
일본 기업의 도산은 26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동북권이 2배 증가한 64건으로 집계됐고, 9개 지역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크게 웃돌았다. 산업별로는 자재 가격이 폭등한 건설업이 46% 증가한 193건, 인력난이 심각한 운수업이 2배 늘어난 54건으로 눈에 띄었다.

물가 상승은 내수에 의존하는 소기업들을 옥죄는 주요 요인이다. 닛케이는 5월 물가 상승을 원인으로 한 기업 도산은 47% 증가해 87건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소기업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 비해 가격 전가력이 부족하다. 원자재 가격, 물류비, 인건비 등 비용이 늘어나도 쉽게 상품 가격을 올릴 수 없다는 의미다. 3월 일본 신용 금고업계인 조난신용금고가 약 8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원자재 등 원가 상승분을 모두 가격 전가할 수 있는 기업은 14%에 불과했다.

일본의 인력난도 소기업엔 넘을 수 없는 난관이다. 인건비 급등과 구인난 등을 이유로 한 도산은 2.3배인 28건으로 급증했다. 1~5월까지 누계 도산은 118건으로 같은 기간 조사를 시작한 13년 이래 처음으로 100건을 넘었다.

아울러 정부의 자금 지원 축소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닛케이의 설명이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도입한 중소기업 자금 지원책을 7월 이후 일부를 제외하고 종료한다. 4월에만 약 5만 개 기업이 신규 무이자·무담보 대출 상환기에 접어들었고, 5월에는 대출을 이용한 기업 도산이 16% 증가한 67건으로 늘었다. 이는 3월과 함께 월별 최고치다.

기록적인 엔저와 물가상승 압박으로 소기업들의 성장 투자 여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금융정보업체 데이코쿠데이터뱅크(TDB)가 4월 약 3만 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024년도 설비투자 계획이 있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44%로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19년(49%)보다 낮아졌다. 대기업은 74%로 약 2배가 넘는다.

도쿄상공리서치의 사카다 요시히로 정보부 과장은 “물가 상승과 인력 부족이 자금 지원책으로 버텨온 기업들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며 “수익성을 높이고 지원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느냐가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