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전망] 코스피 2630~2750 전망…FOMC 주목

입력 2024-06-08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 D.C./AP연합뉴스

다음주(10~14일) 국내 증시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낙관적인 실적 전망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예정이다. 미국 경제지표 둔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 달러 강세 우려는 하락 요인으로 꼽힌다. 시장은 미국 5월 고용보고서 발표,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성명서 발표, 애플의 세계 개발자회의 등에 시장의 주목할 예정이다. NH투자증권은 주간 코스피 예상밴드는 2630~2750포인트로 제시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3~7일) 코스피 지수는 한 주 동안 86.15포인트(3.27%) 오른 2722.67에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주보다 3.12% 상승한 866.18에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한 주간 외국인 투자자는 SK하이닉스(4873억 원), 삼성전자(3204억 원), LS일렉트릭(647억 원), LS(536억 원), 유한양행(408억 원), 효성중공업(396억 원) 등을 사들였다. 반면 에코프로머티(745억 원), 네이버(617억 원), 삼성증권(543억 원), LG전자(471억 원) 등을 팔았다.

미국 증시가 엔비디아의 상승세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국내 증시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증시에서 지난 5일(현지시간) 엔비디아의 주가는 5% 급등하며 시가총액 3조 달러에 진입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이에 힘입어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다음 날 엔비디아 시총은 3조 달러 아래로 내려오면서 뉴욕증시도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음주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미국의 기준금리 향방이다. 12일(현지시각)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CPI) 발표되는데 헤드라인 CPI는 3.4%, 근원 CPI는 3.5%로 전망된다. 다만 연준이 1개 분기 이상의 물가 안정세를 확인하고 싶어 한다는 점에서 5월 물가지표에 대한 주목도는 다소 낮을 가능성이 있다.

13일에는 FOMC 성명서가 발표된다. 연준이 금리 인하에 대한 명확한 시그널을 줄 시기는 아니지만 경제전망과 점도표가 발표된다는 점에서 관심을 얻고 있다. 이번 점도표에서 올해 인하 횟수 전망치는 1~2회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건은 내년에 3회 인하 전망이 유지되는지 여부인데, 추가적인 인하폭 축소가 있는 경우 금융시장이 다소 실망할 가능성이 있다.

돌아오는 주에는 애플의 세계 개발자 회의(WWDC)도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 애플은 iOS 18, 아이패드OS 18, 맥OS 등 새롭게 개편되는 운영체제를 공한다. 또 오픈AI와의 계약을 공개하고 챗GPT와 iOS의 통합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식시장은 최근 미국 실물지표의 쿨다운 조짐에도 불구하고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미 연준의 보험성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경기둔화 우려를 경감시켜주는 가운데 주식시장은 6월의 경제지표 발표·통화정책 이벤트를 큰 무리 없이 소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 실적 전망이 양호하다는 점도 주식시장을 지지하는 요인이다. 2분기 어닝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자신감을 불어넣어줄 것으로 보인다.

다음주 주요 경제지표 이벤트로는 한국시간 기준 △6~9일 유로존 유럽의회 선거 △10일 중국 용선제 휴장 △12일 중국 5월 소비자물가·생산자물가 발표 △12일 미국 5월 소비자물가 △13일 미국 FOMC △13일 유로존 4월 산업생산 △13일 미국 5월 생산자물가 △14일 미국 5월 수출입물가 △14일 미국 6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등이다. NH투자증권은 반도체·장비, IT하드웨어, 조선, 방산 업종에 긍정적 관점을 둘 것을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