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이어 유럽도 기준금리 인하…미국 FOMC 압박

입력 2024-06-07 08: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스위스ㆍ스웨덴 등 금리 내려
캐나다, G7 가운데 최초 금리↓
ECB, 물가 높아도 0.25% 인하
11일 미국 FOMC 앞두고 압박

▲유럽중앙은행 (연합뉴스)

유럽중앙은행(ECB)이 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했다. 스위스와 스웨덴ㆍ캐나다 중앙은행이 올해 들어 금리를 인하했으나 주요 경제권인 유로존의 인하 결정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통화정책이사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4.25%,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는 각각 연 3.75%, 연 4.50%로 내렸다.

기준금리를 0.50% 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밟으며 금리 인상을 시작한 2022년 7월 이후 1년 11개월 만이다. 주요 경제권인 유로존의 인하 결정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바로 전날, G7 국가 가운데 하나인 캐나다의 중앙은행 ‘캐나다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5.00%에서 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캐나다은행이 금리 인하에 나선 것은 범유행 발발 직후인 지난 2020년 3월 이후 4년여 만이다.

캐나다는 범유행 이후 금리를 0.25%까지 낮췄다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자 2022년 3월부터 금리를 올리며 긴축 통화정책을 펼쳐왔다.

캐나다와 ECB 금리 인하에 따라 한국(기준금리 3.50%)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금리 격차는 0.75% 포인트로 줄었다.

캐나다은행에 따르면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 2022년 6월 8.1%까지 올랐으나, 지난 4월 2.7%로 둔화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오는 7월 이후 캐나다은행이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보고 있다.

맥클렘 캐나다은행 총재도 "인플레이션이 둔화세를 지속하고 2% 인플레이션 목표를 향해 지속해 둔화할 것이란 우리의 확신이 커진다면 추가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것은 합리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ECB는 통화정책 자료에서 "9개월간 금리 동결 이후 통화정책을 완화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며 "지난해 9월 회의 이후 물가상승률이 2.5% 포인트 이상 하락했고 인플레이션 전망도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시장은 ECB가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2차례 더 내릴 것으로 예측해왔다. 그러나 올해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모두 상향 조정해 추가 금리 인하까지 예상보다 다소 오래 걸릴 수 있음을 시사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 3월 2.3%에서 2.5%로,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2.6%에서 2.8%로 각각 올려잡았다.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2.0%에서 2.2%로 높였다. 올해 유로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0.6%에서 0.9%로, 내년 전망은 1.5%에서 1.4%로 수정했다.

ECB는 "최근 몇 분기 동안 진전에도 임금 인상률이 높아져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강하다"며 "물가상승률이 내년까지 목표치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금리 경로를 미리 정하지 않는다"며 "물가상승률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간에 정책 금리를 충분히 제한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