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하락세 지속…단경기 가격, 수확기보다 떨어지나

입력 2024-06-05 11: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쌀값 안정 대책·추가 매입 촉구 목소리 나와

▲경기도 용인시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저온저장고에서 관계자가 벼 포대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최근 쌀값이 떨어지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추세로는 생산이 없는 단경기(7~8월) 가격이 수확기보다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전국 평균 산지 쌀값은 20㎏ 한 포대에 4만7179원으로 나타났다. 80㎏으로 환산하면 18만8716원으로 전순기 대비 0.4% 낮아졌다. 하락세를 이어가던 산지 쌀값은 지난달 15일에 18만9488원으로 19만 원 선이 무너졌고 하락폭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단경기 쌀값이 지난해 수확기(10~12월) 쌀값 평균 20만2797원보다 낮아질 가능성도 커졌다.

이 때문에 쌀 격리를 비롯한 대책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전남농업인단체연합회는 최근 성명을 내고 농협 재고량 15만 톤 이상 추가 매입 등 쌀값 안정을 위한 추가 대책, 전략작물직불제 등 벼 재배면적 감축을 위한 쌀 적정생산 정책 확대, 양곡 통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전남농업인단체연합회는 "농협 종합미곡처리장(RPC)이 수확기 대비 쌀값 하락으로 2년 연속 경영적자를 봤다"며 "쌀값과 RPC의 경영상황은 쌀 농가 소득과도 직결된 문제로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농협 역시 재고 물량이 늘어나는 상황에 부담이 커지고 있다. 농협은 지난해 수확기 민간업체가 벼 매입을 미루면서 역대 최대인 200만1000톤의 쌀을 매입했다. 현재 80만 톤 이상의 재고가 남아 있는 상황으로 지난해 약 60만 톤보다 20만 톤 이상이 많다.

이 때문에 정부가 15만 톤 이상을 매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지난달 열린 농업인단체장 간담회에서 "현재 남아도는 쌀이 약 21만 톤 정도로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고, 쌀 소비 홍보에 역점을 두겠다"며 "정부에 15만 톤의 추가 격리를 요구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부도 쌀값 하락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지난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상정되지 않으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쌀값 안정 추가 대책 발표도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