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간 3조 팔아치운 외인…‘셀 코리아’ 우려 커진다

입력 2024-06-04 15:57수정 2024-06-04 17: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 주간 3조 팔아치운 외인…‘셀 코리아’ 우려 커진다

7개월 만에 순매도로 돌아서

반도체·이차전지주 폭풍 매도

“차익실현…하반기 반등 기대”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사진=뉴시스)

외국인이 일주일간 3조 원 넘게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면서 ‘셀 코리아(Sell Korea)’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고 코스피도 박스권에 갇힌 가운데 국내 기업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한 요인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구조적인 이탈으로 보기에는 이르다며 하반기부터 증시 반등을 기대해 볼 만하다고 전망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날까지 7영업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3조2726억원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지난달에는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1조3307억 원어치 팔았다. 월간 기준으로 외국인이 매도 우위를 보인 것은 지난해 10월(-2조9441억 원) 이후 7개월 만이다.

올해 1월 정부가 기업 가치를 스스로 제고시키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주식을 사들이는 흐름을 이어왔는데 넉달 만에 팔기 시작한 것이다. 올해 들어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액은 1월 3조4828억 원에서 2월 7조8583억 원으로 급증했다가 3월(4조4285억 원), 4월(3조3727억 원) 매수 폭을 줄였고 지난달 순매도로 돌아섰다.

지난 한 달간 가장 많이 내다판 종목은 반도체와 2차전지주다. 순매도 종목 순으로 보면 △삼성전자(-2조5819억 원) △LG화학(-2783억 원) △삼성SDI(-2485억 원) △셀트리온(-2455억 원) △카카오(-2조1068억 원) △HD현대마린솔루션(-1925억 원) △SK(-1274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1239억 원) △삼성전자우(-1098억 원) △LG에너지솔루션(-1098억 원) 등이다.

▲유가증권시장 월간 외국인투자자 순매수도 (한국거래소)

특히 삼성전자만 2조 원 넘게 팔아치웠다. 노조가 창사 이래 첫 파업에 나서고 삼성전자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차전지의 경우 전기차 시장이 수요 둔화로 부진하면서 관련주가 약세를 지속하고 있는 영향이다.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주식시장 훈풍도 외국인들이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4.5%를 웃돌고 나스닥 시장이 신고가를 기록하는 반면 코스피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불안감에 2600대 박스권에서 횡보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4일 종가 기준 2662.10로 올 초(2669.81)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특히 국내 증시서는 지난달 52주 신저가만 360개에 달했다.

시장에서는 이런 외국인의 매도세가 구조적 이탈 흐름이라고 보기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단기적인 차익 실현일 뿐 기업 실적 발표 등 국내 증시의 하반기 모멘텀도 기대해 볼만하다는 설명이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들어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반도체 종목이 오랫동안 상승했고 외국인의 투자도 집중됐는데 이를 차익실현하는 시점”이라며 “고환율 상황에서 수출기업이 가격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고 10년 전 중국에 나가있던 국내 화장품들이 미국으로 나가기 시작하면서 긍정 모멘텀이 있는 만큼 ‘셀 코리아’ 평가는 이르다”고 말했다.

이승훈 IBK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반도체 산업이 기대만큼 깜짝 실적을 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서도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하다”며 “글로벌 시장 곳곳에서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많이 올랐기 때문에 포트폴리오가 주식보다는 채권 등으로 자산 배분이 변화하는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