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업종간 차별화 예상…정유주 수급 변동성 유의

입력 2024-06-04 08: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문가는 4일 국내 증시에서 성장주와 경기 민감주 등 업종별 차별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상장지수펀드(ETF)는 1.7%, MSCI 신흥 지수 ETF는 1.1% 각각 상승했다. 유렉스 연계 코스피200 선물은 0.5% 하락했다.

역외차액결제선물환(NFD)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69원으로 전일 대비 8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측한다. 전날 국내 증시 강세는 수출 호조, 제조업 반등, 수급 개선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 제조업 구매자관리자지수(PMI) 부진에도 외국인의 위험자산 선호가 지속되는지가 중요할 전망이다.

미국 증시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PMI 부진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애플 등 주요 기업들의 인공지능(AI) 낙관론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한편 고용은 개선되고 물가 압력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나며, 미국 국채 수익률 곡선 전반의 하방 압력이 커졌고 달러는 약세를 기록했다.

◇한지영·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 = 이날 미국 ISM 지표 부진에 따른 금리 하락, 경기 불안 노이즈 등 미국발 상·하방 요인이 혼재됨에 따라, AI, 성장주, 경기 민감주간 차별화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또 산유국 감산 축소, 수요 부진 우려 등으로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이 급락했다는 점은 국내 정유주들의 하방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들은 정부가 언급한 유전 테마주로 묶인 상태이기에, 장중 등락을 반복하며 수급 변동성이 큰 폭 증가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날 코스피 급등은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증시 강세 영향도 있겠지만, 5월 중 한국 증시의 소외 현상이 과도했다는 인식이 누적된 가운데 수출 호조 등이 이를 해소하는 촉매 역할을 제공했던 것으로 판단한다.

이번 수출 결과를 반영해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 등 주력 품목들을 중심으로 코스피의 올해 이익 전망이 개선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코스피 이익 전망 개선은 주중 굵직한 매크로 이벤트가 만들어내는 변동성 장세에서 여타 증시에 비해 하방 지지력을 부여해줄 것으로 예상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