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간 타오르는 ‘불의 정원’ 있는 포항…석유·가스 140억 배럴 매장가능성에 '주목'

입력 2024-06-03 17: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일 경북 포항시 남구 대잠동 철길숲 불의 정원에서 천연가스 불꽃이 타오르고 있다. 이 불꽃은 2017년 공원 조성 과정에서 관정을 파던 중 땅속에서 나온 천연가스로 인해 굴착기에 붙은 뒤 현재까지 타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물리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포항이 주목받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는 포항 앞바다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결과가 나와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포항에 어느 정도의 석유와 가스가 있는지, 경제성이 높은지 등에 관심이 쏠린다.

포항은 이전에도 석유와 가스와 관련해 주목받은 일이 여러 차례 있다.

(연합뉴스)

포항에서는 1975년 남구 상대동 주택가 땅속에서 1드럼(200ℓ) 분량의 석유가 발견됐고 1988년에도 북구 흥해읍 성곡리 주택 마당에서 천연가스가 나와 한동안 취사용으로 쓴 것으로 전해졌다.

2017년 3월에는 남구 대잠동 철길숲 공원 조성지에서 지하수 개발을 위해 지하 200m까지 관정을 파던 중 땅속에서 나온 천연가스로 굴착기에 불이 붙었다.

이 불은 금방 꺼질 것이란 초기 예측과 달리 7년이 지난 현재까지 타오르고 있다.

불이 꺼지지 않자 시는 불길이 붙은 굴착기와 주변 흙 등 현장을 보존하고 주변에 방화 유리를 설치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불의 정원'이란 이름의 공원을 만들었다.

불의 정원 지하에는 메탄으로 이뤄진 천연가스는 포항시민이 한 달간 쓸 수 있는 양으로 나오며 경제성은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 경북 포항 영일만 바다가 잔잔한 물결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이날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합뉴스)

시는 2020년 말에도 불의 정원 인근인 북구 득량동 철길숲 시민광장 조성 예정지에 천연가스 매장지를 추가로 발견했으나 경제성이 낮아 활동하지 않기로 했다.

앞서 학계에서는 포항 지역 지하층은 신생대 3기 층으로 유기물과 바다 생물이 널리 분포해 있어 천연가스나 석유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영일만을 포함한 동해는 과거부터 석유나 가스 등 해양자원 매장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알려진 만큼 최근 취항한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3호'와 연계해 포항이 미래 자원 확보의 전진기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