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레노보, 사우디에 20억 달러 채권 발행...중동 공략 시동거나

입력 2024-05-29 17: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리야드에 연구개발 센터 건설 예정
12% 지분 포기하고 자금 조달 선택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알-사우드(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사우디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의 회장이다. 서울/뉴시스

중국 IT 기업 레노보그룹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약 20억 달러(2조7300억 원) 규모의 제로 쿠폰 전환사채(CB)를 판매한다. 제로 쿠폰은 표면 금리가 0%인 해외 발행 할인채권이다. 이로써 기술이 부족한 사우디아라비아와 자금이 부족한 중국 기업이 전략적 협약을 맺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레노보는 사우디 국부펀드(SWF) 공공투자기금(PIF) 산하 투자회사 알랏에 주당 10.42홍콩달러 가격으로 CB를 발행한다. CB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으로, 외부 투자가 필요한 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해 활용되는 방식이다. 이번 채권 가격은 전날 레노보 주가의 종가 대비 약 12% 할인된 가격으로, 9년 만에 최고가에 근접하다. 전날 레노보 주가는 약 2% 하락했다.

이번 CB 이자율은 0%이며, 만기 채권 수익률은 약 5.8%다. 이는 레노보 자본금의 12%에 해당한다. 스위스 투자기관 유니온뱅케어프리비(UBP)의 베이선 링 상무이사는 “결국 12%의 지분을 포기하고 자금을 조달해 전략적 도움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CB판매로 레노보가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전략적 투자자를 확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레노보는 협약의 일환으로 리야드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유치하고 현지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 사우디 정부가 직접 소유하고 있는 투자기관인 공공투자기금(PIF)은 지난 10년간 아시아 기술 기업의 현지 유치에 주력했다. 주로 데이터 센터, AI, 반도체 제조기업을 유치해 기술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PIF 산하 기업 알랏은 2030년까지 사우디에 사업장을 설립하고 고용을 약속하는 기업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한다.

미국은 중국 기업과 사우디 정부의 기술 협력을 주시하고 있다. 다만, 알랏 대표는 미국 요청이 있다면 중국으로부터 매각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이달 아시아 기업들이 CB 판매로 조달한 자금은 약 9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