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팀 코리아’ 정신으로 제2중동 붐 일구길

입력 2024-05-29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나라 대기업 총수들이 어제 국빈 방문한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을 만났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10대 그룹 총수가 함께 자리했다. 엔터테인먼트와 게임 업계 리더인 방시혁 하이브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도 동참했다. 다각도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고 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별도로 양국 기업인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UAE 비즈니스 포럼’을 열었다.

중동권은 수출입 구조의 대전환기를 맞은 한국에 둘도 없는 ‘기회의 땅’이다. 탈석유 비전을 고민하는 중동권도 한국의 국가발전 노하우와 초격차 기술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특히 한·UAE 관계는 장밋빛이다. 양국은 지난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UAE 7개 토후국 중 최대국인 아부다비 국왕이기도 한 무함마드 대통령의 이번 방한은 답방 성격이다. 두 정상은 어제 친교 행사에 이어 오늘 정상회담을 열어 원자력, 청정에너지, 방산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모색한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UAE와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맺었다. 이어 중동 6개국 협력 기구인 걸프협력회의(GCC)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GCC가 FTA를 맺은 상대는 싱가포르와 유럽자유무역연합체(EFTA)뿐이다. 미국, 중국, 일본, 영국 등 주요국들이 공을 들이고 있지만 한국이 먼저 전략적 파트너가 됐다. 무함마드 대통령의 입김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는 2009년 왕세자 시절 한국의 UAE 바라카 원전 수주를 지원했다.

중동 시장 확보를 위한 기업 차원의 각개약진은 이미 활발하다. 삼성은 기존의 바라카 원전 건설 참여 외에 차세대 이동통신(5G), 반도체, 인공지능(AI) 등으로 주력 분야를 넓히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UAE에서 그린수소와 그린암모니아 사업 개발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는 수소, 그린알루미늄, 친환경 모빌리티, 미래 항공교통(AAM) 부문에서 뛰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UAE와 11억 달러(약 1조3000억 원) 규모의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 수출 계약을 맺기도 했다. 어제 회동은 또 다른 차원의 견인차가 될 수 있다.

한국 경제는 1970년대 오일 쇼크 때 중동 특수를 통해 위기를 돌파했다. 미국, 중국만 바라봐서는 안 될 격동기인 만큼 이젠 과거의 건설을 넘어 첨단 분야로 각도를 넓혀 대중동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들에만 맡길 일도 아니다. 왕족 국가, 이슬람 특유의 문화와 비즈니스 환경, 관행 등 생소한 것들이 허다하다. 정보·자금력이 취약한 중견·중소기업들은 더 주의해야 한다.

중동 국가가 발주하는 사업은 기반시설인 경우가 많다. 국가 간 신뢰를 높이는 외교·통상 노력이 필수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으라고 했다. 맞춤형 수출 지원책도 절실하다. 50년 전의 중동 붐도 그랬지만 제2의 물결이 광범위하게 일면 수출 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라는 양수겸장의 수가 되게 마련이다. ‘민관 원팀’으로 뛸 이유가 차고 넘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