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대신 비싼 달러 벌래요”... 엔저에 해외 취업 눈돌리는 일본 Z세대

입력 2024-05-28 15: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 취업시 외화로 받는 급여 매력적
지난해 해외 영주권자 약 58만명 역대 최다

▲일본 도쿄 나리타 공항의 국제선 출국 게이트. 도쿄/AP뉴시스

엔저·경기 침체 등으로 미래 불안감이 높아진 일본 Z세대가 해외로 일터를 옮기고 있다.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상대적으로 비싸진 외화에 매력을 느낀 일본의 젊은 세대가 해외로 취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Z세대는 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로, 어릴 때부터 인터넷에 익숙해 해외 정보를 접해 온 특성이 있다. 닛케이는 Z세대는 기회를 기다리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최단기간에 살리기 위해 스스로 개척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Z세대가 ‘외화벌이’에 눈을 돌리고 있는 이유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엔화 약세 때문이다. 일본은 마이너스 금리 해제 이후에도 달러 대비 엔화 가치가 3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해외로 취업하면 급여를 외화로 받기 때문에 더 많은 엔화로 환산되는 이점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정보를 발 빠르게 접하는 Z세대들이 해외 취업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게 닛케이의 설명이다.

▲일본인 해외 영주권자 증가 추이. 단위 5만 명.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외무성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영주권자는 57만 4272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일본의 해외 구직 정보업체 GJJ해외취업데스크는 외국에서 직장을 찾으려는 사람들의 구직 문의가 늘었고, 최근 3년 정도는 60%가량이 여성이라고 전했다.

말레이시아 소재 미국 기업에 재직 중인 나카지마 치카는 “해외 주재원 기회를 기다리는 것보다 해외 취업이 빠르다고 생각했다”며 “이곳에서 적응하며 후배 일본인 채용에 힘쓰고 있다”고 닛케이 인터뷰에 답했다.

엔저는 해외 취업에는 호재이지만, 유학에는 악재로 작용한다. 일본의 유학 지원 업체인 유학저널의 담당자는 “대학생들은 비싼 유학 비용을 우려해 기간을 단축한다”며 “대체 수단으로 온라인 수업을 선택하는 학생들도 있다”고 말했다.

해외 취업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해외에서 근무할 경우, 현지와 일본 두 나라에 연금 보험료 등을 내는 이중 납세 문제가 있다. 일본은 지금까지 미국, 영국 등 23개국과 협정을 맺어 한 국가의 세금만 낼 수 있지만, 태국, 튀르키예 등은 아직 협상 중이다. 또한, 유럽과 미국, 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저숙련 노동자에 대한 비자 발급이 까다로운 상황이다.

GJJ의 최고경영자(CEO) 타무라 타카시는 “한 번에 유럽이나 미국에 취업하는 것은 어렵다”며 “먼저 아시아에서 경험을 쌓고, 그 후 유럽과 미국을 목표로 하는 유연한 경력 형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